조선일보가 ‘시민단체에 411억’ 기사를 통해 정부와 시민단체의 유착 의혹을 제기한 이후 관련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언론관련 시민단체 2곳에 대한 의혹성 기사가 별도로 게재되자 조선의 ‘음모’라고 맞서는 한편 오마이뉴스가 언론재단의 언론 지원 실태를 보도하자 언론재단 노조에서 강하게 반발, 사태가 복잡한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관련기사 4면
조선은 1일자에서 ‘정부의 시민단체 지원’과 관련한 기사를 다루며 2면에 ‘정부 비판신문 공격에 앞장선 2곳에 수억 집중지원’이라는 별도 기사를 게재했다. 조선은 “민언련은 작년 한 해 동안 국정홍보처에서 4천1백만원, 행자부에서 4천만원, 방송위원회로부터 3천만원, 언론재단으로부터 1천3백60만원을 받았다. 국가인권위원회에서도 9백20만원을 지원받았다. 민언련이 4개 기관으로부터 받은 총액은 1억3천여만원이다”고 밝혔다. 조선은 또 “언개연은 언론재단으로부터만 4천만원을 작년 한 해 동안 받았다”고 썼다.
조선은 이와 함께 “이들 두 단체는 신문 사주의 지분을 제한하고 신문시장 점유율을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쪽으로 법을 개정하라고 요구하며, 정부의 신문시장 재편 방침을 뒷받침해왔다”고 밝혔다.
그러자 민언련과 언개연 등 두 단체는 즉각 반발 성명서를 발표했다.
민언련은 “조선일보가 시민단체에 대한 정부 지원 가운데에서도 민언련과 언개연을 집중적으로 거론한 것은 언론개혁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단체들을 ‘흠집’내 언론개혁운동의 정당성을 훼손하려는 의도”라고 반박했다.
언개연도 2일 성명을 내고 “한국언론재단에서 비정부기구에 지원하는 것을 문제삼는다면, 한국언론재단이 언론을 지원하는 것도 문제가 돼야 한다”며 “이번 보도는 현실적 악의를 지닌 왜곡·과장·부실 보도의 전형이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와 관련해 오마이뉴스가 민언련과 언개연이 성명에서 밝힌 ‘언론재단의 언론사 및 언론인 지원’ 실태에 대해 “언론사와 기자가 받으면 ‘지원’이고, 시민단체가 받으면 ‘뒷거래’인가”라며 “언론사들에 대한 언론재단의 지원은 지난 81년부터 지금까지 24년간 중단없이 계속돼 왔는데, 지원금 등을 총액으로 합산할 경우 무려 수천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오마이뉴스는 또 같은 기사에서 △기자연수, 저술지원, 기획취재 지원 △생활자금, 주택자금 저리융자 △부·국장 등 간부행사 수천만원씩 매년 지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언론재단 노조는 3일 조선일보와 오마이뉴스 간 시민단체 지원을 둘러싼 논쟁과 관련, 언론재단을 ‘언쟁의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언론재단 관계자는 “조선과 오마이뉴스는 일부 사실만 취사선택한 것”이라며 “언론계는 서로간의 전쟁의 수단으로 더 이상 언론재단을 이용할 것이 아니라 진정한 ‘언론발전과 개혁의 도구’로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