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장재구 회장(右)과 전민수 위원장이 임단협안에 서명한 후 악수하고 있다. |
|
|
한국일보 노사간 '임단협안' 타결로 회사 정상화를 위한 회생의 청신호가 켜졌다.
특히 그동안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기도 했던 편집국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노조가 신문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 기구 구성과 경영 신문혁신 작업에 함께 나서기로 해 회사 정상화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일보는 장재구 회장이 약속한 54억원의 증자를 이번 주 내에 마무리 짓기로 하고 미지급돼온 6〜8월분 임금 중 지난 9일 7월분 50%를 지급한데 이어 나머지 6월과 8월분 임금은 내주 중 지급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또 분위기 쇄신차원에서 사의를 표명한 신상석 사장의 사표를 13일자로 수리하고 회사정상화 여부를 판가름하게 될 채권단 회의에 대비, 각종 대안마련에 나서고 있다.
편집국 비대위측은 일단 노사간 임단협 타결이 ‘파국’을 면하는 계기가 됐다고 보고 9일 편집국 총회를 통해 △회장의 추가 증자일정 공개△유동성 해소 및 임금체불방지책 마련△합리적인 인사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등 경영쇄신책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또 채권단에 대해서도 ‘워크아웃의 취지에 맞는 구조조정 자금 지원’과 ‘MOU 개선 등 한국일보를 살릴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 강구’ 등을 요구하고 ‘노조와의 공동대책 기구 조직을 통한 경영 및 신문 혁신작업'을 시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노조측 또한 “회사정상화를 위한 조합원들의 한결같은 바램이 타결을 앞당긴 것”이라며 “앞으로 장 회장의 증자여부와 합의서 이행 여부를 지켜본 후 회사정상화를 위한 대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비대위나 노조, 채권단 모두 정상화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이는 장 회장의 54억원 증자가 당초 10일 약속을 넘긴 채 이뤄지지 않고 있어 이번 주까지 증자상황을 지켜본 후 향후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