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국일보 정상화 '청신호'

임단협 타결...노조 비대위 공동보조

이종완 기자  2004.09.14 10:28:53

기사프린트




  장재구 회장(右)과 전민수 위원장이 임단협안에 서명한 후 악수하고 있다.  
 
  ▲ 장재구 회장(右)과 전민수 위원장이 임단협안에 서명한 후 악수하고 있다.  
 
한국일보 노사간 '임단협안' 타결로 회사 정상화를 위한 회생의 청신호가 켜졌다.



특히 그동안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기도 했던 편집국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노조가 신문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 기구 구성과 경영 신문혁신 작업에 함께 나서기로 해 회사 정상화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일보는 장재구 회장이 약속한 54억원의 증자를 이번 주 내에 마무리 짓기로 하고 미지급돼온 6〜8월분 임금 중 지난 9일 7월분 50%를 지급한데 이어 나머지 6월과 8월분 임금은 내주 중 지급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또 분위기 쇄신차원에서 사의를 표명한 신상석 사장의 사표를 13일자로 수리하고 회사정상화 여부를 판가름하게 될 채권단 회의에 대비, 각종 대안마련에 나서고 있다.



편집국 비대위측은 일단 노사간 임단협 타결이 ‘파국’을 면하는 계기가 됐다고 보고 9일 편집국 총회를 통해 △회장의 추가 증자일정 공개△유동성 해소 및 임금체불방지책 마련△합리적인 인사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등 경영쇄신책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또 채권단에 대해서도 ‘워크아웃의 취지에 맞는 구조조정 자금 지원’과 ‘MOU 개선 등 한국일보를 살릴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 강구’ 등을 요구하고 ‘노조와의 공동대책 기구 조직을 통한 경영 및 신문 혁신작업'을 시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노조측 또한 “회사정상화를 위한 조합원들의 한결같은 바램이 타결을 앞당긴 것”이라며 “앞으로 장 회장의 증자여부와 합의서 이행 여부를 지켜본 후 회사정상화를 위한 대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비대위나 노조, 채권단 모두 정상화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이는 장 회장의 54억원 증자가 당초 10일 약속을 넘긴 채 이뤄지지 않고 있어 이번 주까지 증자상황을 지켜본 후 향후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