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언론개혁·국보법 '총공세'

보수신문, 정권·시민단체 압박성 보도 일관

김신용 기자  2004.09.15 10:06:02

기사프린트

조선, 동아일보 등 보수신문들이 국가보안법 폐지와 언론개혁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시민단체의 도덕성을 문제 삼고, 노무현 정권에 대한 비판적 기사를 연일 다루는 등 총공세를 펴고 있다.



더구나 보수신문들은 정부의 시민단체 후원문제를 큰 의제로 다루면서 국가보안법폐지, 언론개혁추진 시민단체들에 대한 비판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또한 그동안 대립각을 보여 온 KBS에 대해서는 기사와 사설을 통해 맹비난하면서 민영방송 재허가 심사를 받고 있는 SBS에 대해서는 옹호성 기사를 내보내 지나친 ‘편가르식 보도’라는 지적이다.



진보적 언론학자들은 보수신문의 이 같은 보도양상에 대해 “개혁완성에 대한 두려움에서 나오는 무력화 전략에 다름 아니다”고 분석하고 있다.



최근 보수신문들의 보도를 보면 국정불안 부각 보도나 국보법관련 사설이 눈에 띄게 많아졌다. 보수신문들은 국가보안법과 관련해서는 ‘폐지 불가’라는 분명한 논조를 펴고 있다. 동아,조선은 지난 9일 열린 각계원로 1천5백명의 시국선언대회를 10, 11일 이틀 동안 1면과 속지에 비중 있게 다루면서 위기의식을 조장하는 듯한 기사를 내보냈다.



실제로 동아는 10일 시국선언관련 사실을 보도하면서 ‘한국정통성 잃고 위기 빠져’와 ‘대한민국이 친북-좌경-반미세력 손아귀에’라는 선정적이고 체제부정적인 용어를 원용해 제목으로 뽑았다. 조선도 같은 사실을 크게 보도하면서 ‘1500명 시국선언 큰파장’, ‘대규모집회 잇따를 듯’이라는 부제를 달았다.



뿐만 아니라 조선, 동아는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줄곧 시민단체와 관련된 기사를 의제로 삼아 비판에 나섰다. 조선은 3일자 기사 ‘낮에는 시민단체 밤엔 열린 우리당’제하에서 특정단체를 지목한 비판성 기사를 내보냈다. 동아도 ‘권력유착 시민단체 존재이유 없다’는 2일자 사설에서 “참여정부 들어 시민단체가 관여하지 않은 곳을 찾기 어려울 정도가 됐다”며 “(중략)권력과 유착한 시민단체는 존재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보수신문들의 ‘KBS 때리기’는 현 정권 비판 못지않게 지속되고 있다. 이 신문들은 올 들어 매월 수차례씩 KBS에 관한 비판적 기사나 사설, 칼럼을 게재했다. KBS 정연주사장의 개혁정책에서부터 언론비평프로그램까지 망라해 사회적 이슈가 될 때마다 성토해 왔다.



하지만 조선의 ‘SBS 감싸기’는 적극적이다. 조선은 10일자 기사에서 열린 우리당의 SBS민방 재허가 심사강화에 대해 방송장악 의도로 내비쳐지는 기사를 내보냈다. 또한 같은 날 ‘시민단체들 SBS 때리기’라는 기사에서는 “언론개혁시민연대와 전국언론노조 등이 방송사업자 재(再)인·허가 과정에서의 엄격한 심사를 요구하면서 SBS의 소유구조문제를 집중 제기해왔다”고 보도했다.



인제대 김창룡 교수(언론학부)는 “피개혁 대상으로 볼 수 있는 보수신문들의 현 정권과 시민단체 흔들기는 언론개혁전체를 ‘물 타기’하려는 전략적 측면과 기득권유지 차원에서 나온 것”며 “10월 국정감사가 시작되면 정부의 개혁 작업을 무력화하고 시민단체들의 자중지란을 유도하는 기사들이 쏟아져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조선일보 관계자는 “국보법, 언론개혁 등은 사회적 쟁점이기 때문에 언론으로써 당연히 다뤄왔다”며 “특히 방송문제와 시민단체 문제도 조선일보이기 때문이 아니라 언론에서 지적할 만 사항이기에 보도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