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문광위 국정감사는 신문법, 탄핵관련 방송보도, 민영방송 재허가 문제 등 여야간에 첨예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는 사안이 산적해 있어 갈등이 예상된다.
다음달 8일로 예정된 국정홍보처 감사에서는 한나라당이 시민단체에 대한 지원과 국정홍보처의 특정매체에 대한 광고를 통한 지원을 문제로 삼을 전망이다.
MBC 주식 70%를 소유한 방송문화진흥원 감사와 MBC의 비공개 ‘업무현황보고’에서는 열린우리당이 MBC 주식의 30%를 지닌 정수장학회(이사장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문제를 집중거론하며 아직 이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지 못한 한나라당을 공격할 것으로 보인다.
방송위원회에 대한 감사에서는 여야가 공수를 교대해가며 신경전을 벌일 것으로 관측된다. ‘탄핵방송 보도’와 관련해서는 여당이 방패역할을 하고 민영방송 재허가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나라당이 SBS의 수비에 나설 것이기 때문이다.
10월 18일로 예정된 KBS 감사에서는 작년 국정감사에서 ‘송두율 파동’으로 대표의 사과를 받아냈던 한나라당의 맹공이 재연될 전망이다. 공영방송의 대표 격인 KBS의 위상과 정연주 KBS대표를 ‘노무현 정부’의 핵심인물로 보는 한나라당 입장에서 볼 때 ‘탄핵관련 보도’와 최근 있었던 ‘적기가 파동’에 대해 비판이 잇따를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번 국감을 앞두고 열린우리당 노웅래 의원은 “문광위 국정감사에서도 언론개혁이 화두가 될 것”이라며 “공공성과 공정성을 위한 방송재허가 심사의 엄격한 적용이 이번 국감에서 중요한 문제로 다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 역시 “국감에서는 언론개혁이 이슈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한나라당은 방송개혁에 열린우리당은 신문개혁에 중심을 두고 있어 충돌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 의원은 “열린우리당의 신문개혁은 조중동을 장악하려는 의도가 보인다”며 “수의 우위를 믿고 밀어 붙이려 한다면 힘으로라도 막고 논리로 싸우려 한다면 정당한 논리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