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방송재허가 1차 심사에서 탈락한 SBS가 10월로 예정된 방송위원회의 방송국 2차 심사를 앞두고 잔뜩 긴장하고 있다.
방송위 관계자들은 3년마다 돌아오는 방송국 재허가가 그동안 형식적인 절차에 치우쳤다며 이번에는 공익성 여부에 대해 ‘법대로’ 철저한 심사를 하겠다고 거듭 천명한 바 있다. 더욱이 SBS 입장에서는 최종 탈락하는 방송국의 운영방안에 대한 구체적 논의나 ‘6개월 시한부운영 후 재심사’설까지 나오고 있어 더욱 긴장되는 상황이다.
SBS는 방송사 설립 후 공중파 방송으로 지녀야할 편성과 제작에서의 공익성과 관련해 시민단체들과 언론학계로부터 집중적인 비판을 받아왔다.
방송계에서도 SBS는 드라마와 쇼프로 등 오락프로를 과도하게 편성해 공영체제인 다른 방송국까지 흔들리게 하고 시청률 경쟁을 주도한 것으로 지목됐다. 설립당시 서울지역 시청자를 위한 민영방송국으로 시작해 지역적인 이점을 통해 키운 컨텐츠의 양적·질적 우위를 이용해 타 지역 민영방송들과 편성·보도·광고 등에서 수직적인 관계로 네트워크화를 이룬 후 ‘키스테이션’ 역할을 하고 있는 것도 계속 문제로 지적 됐다.
SBS의 이번 1차 탈락은 서울지역 시청자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미흡했다는 점도 지적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윤세영 회장에서 장남인 윤석민씨로 이어지는 경영권 이양 움직임에 대해서도 ‘세습’으로 보는 부정적 여론이 높은 것도 계속 부담이 될 전망이다.
이 문제에 대해 SBS는 “소유구조는 재허가 심사대상이 아니며 방송국의 소유주도 특정개인이 아닌 (주)태영”이라는 입장을 보였고 방송위도 소유구조 문제를 탈락사유로 들지는 않았다.
방송위는 “수익의 사회 환원과 방송의 공익성 면에서 KBS와 MBC도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SBS가 가장 심각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달리 일부 보수언론과 한나라당은 여당에서 제기하고 있는 ‘SBS 개혁론’이나 이번 SBS 1차 심사 탈락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우호적인 방송사를 길들이기 위한 것이라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SBS 관계자는 재허가와 관련해 “일부 심사위원의 개인적 사감이나 특정세력의 이익이 아닌 방송법에 따른 공정하고 정당한 심사가 2차 심사에서 이뤄질 것으로 믿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