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언론의 청소년 보도가 자칫 모방범죄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
|
|
국내 언론사들의 청소년 관련보도 행태가 사건자체만 부각시키는 ‘단순사실’ 보도에 치중, 모방 범죄 등의 역기능을 양산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청소년 관련 국가정책 또한 여성부와 문광부 등의 이중 관리와 소홀한 지원정책 탓에 제대로 된 청소년 정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15일 제주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기자협회와 한국언론재단이 공동으로 마련한 ‘청소년보도와 바람직한 청소년 정책 마련을 위한 세미나’에서 ‘청소년 관련 보도 현황과 발전방안’을 발제한 김선남(원광대 신문방송학) 교수는 “무분별한 청소년 모방범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관련 뉴스보도의 ‘의도’가 전면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청소년관련 뉴스보도의 ‘의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 보도의 82%가 단순 정보제공이었고, 문제제기 12.8%, 발굴 3.1%, 고발 1.8%에 그쳤다”며 “전반적으로 이슈의 표면적인 면에 치중하는 성향을 엿볼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청소년 관련 뉴스보도에서 이슈(문제)에 대한 대안제시 여부를 살펴본 결과 92%가 대안이 없었고 기자에 의존한 기사가 78.2%나 되는 반면, 전문가는 4.2%, 출처미상도 9.6%에 달했다”며 “기자의 의견이 청소년 모방범죄를 자극하고 보편적 사회가치를 변질 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고 기사를 쓰는 모습을 보여줘야한다”고 지적했다.
지정토론자로 나선 장하성(평택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도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드시 듣고 기사화하거나 청소년들이 처한 현실을 이해한 후 기사화해야 한다”고 언론보도행태의 문제점을 꼬집었다.
장 교수는 또 “정부 전체예산의 0.2%에 그치고 있는 청소년 지원을 확대하고 여성부와 문광부의 이중적 관리를 단일화시키는 정책을 발굴해 국내 문화여건에 맞는 집중적인 청소년 정책을 구현해야 한다”며 주장했다.
한편 ‘청소년 정책 실태와 바람직한 정책방향’이란 주제로 제2주제발표에 나선 권이종(교원대 교육과학계열) 교수는 “청소년 육성 및 보호에 대한 과학적, 체계적인 중장기적인 연구가 추진돼야 한다”며 “청소년 정책 기본 방향을 앞으로는 지역사회 중심, 민간주도로 확대, 개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