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소유구조 변화없이 참여하기는 언론계 최초

아래로부터의 개혁 길 열어···재단이사회 인준 남아

이경숙  2000.11.08 00:00:00

기사프린트

체제 내 개혁이기에 더욱 어려웠다. 지난 10일 CBS 노사는 직원의 경영 참여를 골자로 하는 정관 개정안에 합의했다. 또 이번 주부터 경영평가위원회를 가동, 우리 언론사상 처음으로 현직 사장의 경영실적을 평가하게 됐다.



33일 간의 파업, 교단 내 중진인사의 중재 실패, 재단 개혁을 전제로 한 노사 합의, 파업 주도 노조 집행부에 대한 정직 처분, 활동시한을 4개월여나 넘기며 숙고를 거듭한 회사발전 노사특별위원회&. 신산한 고통 끝에 얻어낸 성과였다. 언론노련의 한 관계자는 "기존 소유구조의 변화 없이 얻어 낸 경영 참여의 기회이기에 더욱 의미가 크다"고 논평했다. 타율적으로 사원지주제·우리사주제가 도입되거나 처음부터 국민주주제로 출발했던 타사의 경우와 비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합의는 개혁의 첫 단추에 불과하다는 게 사내외의 지적이다. 교단 파송 이사의 인원, 사장의 임기, 정관 개정안의 발효시기 등 많은 부분이 합의되지 않은 채 개별안으로 재단이사회에 상정될 예정이다. 그나마 재단이사회가 인준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특히 사장 청빙위원회 시행에는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전망이다. 자칫하면 사내 여론 왜곡도구로 전락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청빙위는 이사 4인, 직원대표 3인으로 구성되며 직원 대표로는 국장급 1인, 부차장 1인, 평직원 1인이 참여하게 되어 있다. 직원 대표의 구체적 선출방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한겨레의 경우 94년부터 사외 위원과 사내 위원 각 10인으로 '경영진추천위원회(경추위)' 구성해 사장 등 임원을 선출했었다. 그러나 경추위 결정에 대한 직원들의 불만이 높아지면서 한겨레 노사는 지난해 8월부터 사장 직선제를 도입, 올 1월 최학래 사장을 선출했다. 불만의 가장 큰 요인은 사내 위원 추천방식의 불투명성이었다. 선출방식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지 않은 와중에 사내 몇몇 파벌이 위원 선출을 주도했던 것이다. 이 때문에 다수의 직원들은 누가 위원이 되는지 또 그가 누구를 경영진으로 추천할 것인지 알 수 없었다. 이정구 한겨레 노조위원장은 "사장 추천위원회를 도입하려면 위원 선출방식이 공개적이어야 한다"면서 "위원 후보가 누군지 또 그의 입장이 어떤 것인지 직원들 앞에서 공개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