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의 언론자유는 주권이 이양된 이후로 국제적 이목을 끌어왔다. 가장 주목 받은 사건은 지난 5월 유명한 라디오 프로그램 담당자 세 명이 연달아 사임한 일이다. 이 사건은 중국이 그 배후에 있는 것으로 주장되는데, 친 민주주의 진영이 9월에 실시된 입법의원 선거에서 의석을 차지하는 것을 막으려고 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언론의 자유를 희생양으로 삼았다.
이 일은 2년 전 중국 공산당의 지배를 받는 홍콩특별행정구가 홍콩의 미니 헌법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국가안전법 제정에 착수했을 때로 거슬러 간다.
국가안전법의 신설 조항이 언론의 자유를 크게 위협하고 있기 때문에 홍콩 언론인 협회는 국가 기밀 유출죄와 선동죄에 대해 특히 염려를 했다. 그러나 인권 침해, 압수 수색, 공소시효 폐지를 다룬 조항 등도 큰 관심사였다.
이러한 것을 염두에 두고서 홍콩 언론인협회는 홍콩 정부가 홍콩특별행정구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북경 중앙정부를 강력히 촉구해 지위 여하를 막론하고 공무원을 포함한 모든 중국 본토인들이 기본법에 보장돼 있는 홍콩특별행정구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거나 위협하는 행위는 용인하지 않으며, 앞으로도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공개적으로 분명히 밝히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중앙정부와 홍콩 정부가 의도에 대해 상당한 불안감이 존재한다. 그러나, 중국이 내놓은 일련의 ‘당근 정책’ (경제 협력 협정, 개별적인 중국 본토 방문, 올림픽 경기 우승자 쇼, 홍콩의 친 민주주의 진영에 대한 화해 정책 등) 이후 홍콩 시민의 불신의 정도는 줄었다.
사실상 홍콩의 표현의 자유는 아직 중국의 선전 활동의 공격 하에 있다. 그러나 홍콩의 언론의 자유의 운명은 ‘길은 꾸불꾸불하지만 앞날은 밝다’라는 중국 속담처럼 결국은 잘 되어 갈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