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동아시아 기자포럼 주제발표-뉴미디어산업 현황

윤리위 설치·조직 개편 등 새로운 변화 바람
한국언론의 발전 전략

박성호 한국기자협회 언론연구소장  2004.11.17 10:50:53

기사프린트

한국 언론계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여당이 지난달 15일 신문개혁을 위한 법안을 발표한 가운데 정부와 ‘보수적’ 주류언론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언론개혁법안에 대해 유력 신문들은 인수나 합병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장점유율을 규제하지 않는다고 반박한다. 조선, 중앙, 동아일보는 일제히 언론개혁 법안이 위헌의 소지가 있다고 주장한다.



언론개혁을 놓고 갈등이 일고 있는 가운데 언론사들의 수익성은 악화되고 있다. 또한 기자들의 사기 면에서 조차 낮은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기자들은 이런 어려운 시기에도 불구하고 공중에 봉사하는 보다 좋은 저널리즘을 천직으로 추구하고자 한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탁월한 저널리즘을 이룩하기 위한 노력은 편집 부문만의 전유물은 아니어서 다양한 시장 전략을 통해 언론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언론은 또한 보도에서 사실과 의견을 분명히 구분하기 시작했다. 한국 언론은 의도적이든 아니든 뉴스기사에 의견이 섞여 들어가는 관행을 보여왔다. 중앙일보는 지난 3월 22일자에서 보도와 분석을 구분하겠다고 밝혔다. 이 신문은 지금껏 보도인지 주장인지 감정마저 뒤섞인 논평식 보도기사로 공정성과 객관성을 잃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고 밝혔다. 매스컴 수용자들은 그러나 중앙일보의 선언 이전에도 다른 신문이나 잡지 온라인 또는 방송에서 좋은 기사를 많이 접했을 지도 모른다.



기사작성 형식을 바꾸거나 오보를 바로잡았다고 해서 반드시 공정하고 균형 잡힌 보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비평가들은 대다수 한국 언론이 공중의 이해가 아닌 다른 이해관계를 위해 봉사한다고 지적해 왔다.



신문과 방송에서 오보를 인정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더욱이 오보를 정정하려는 노력이 외부의 중재에 의한 것이 아닌 미디어 자체의 결정에 의해 시행된다는 것이다.



윤리규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언론기관마다 윤리위원회 설치가 늘고 있다. 이는 언론계의 고질적인 촌지수수 관행과 관련이 있다.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의 최민희 사무총장은 권언유착의 풍토, 언론시장의 독과점 구조, 취재관행과 기자단 문화, 언론비리 사후처리 미비 등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주문한다.



KBS가 지난 8월 팀제로 조직을 개편했다. 중간관리자 간부직 수가 1천1백98개에서 1백85개로 줄었고 일과 기능 중심으로 조직에 변화를 준다는 게 이번 개편의 핵심 논리다. KBS의 조직개편은 언론계 중에서 가장 방대한 조직이 단행한 조치인 만큼 팀제 확산 여부에 좋은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방송위원회 출입기자들과 홍보팀 직원들은 매주 금요일 오전 방송위에서 공부모임을 갖는다. 기자들은 방송정책이나 뉴미디어 기술 발전 등에 관한 배경 지식을 쌓는 기회이고 방송위 직원들은 기자들의 오보를 줄이는 기회로 삼을 수 있어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생각이다.



한국 언론에는 언론을 이익추구의 사업으로 보려는 풍조, 편집·보도국내 커뮤니케이션 부족, 익명의 취재원 관행, 직업안정에 대한 불안감, 과로, 인쇄매체 기자의 텔레비전 출연에 따른 사실과 의견의 혼재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특히, 보도기관의 수익성에 대한 관심이 공적 기능을 압도하는 것 같다. 언론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변함에 따라 언론기관이 윤리규정을 실천하는 것이 국내외적으로 어려워지고 있는 것 같다. 워싱턴 포스트의 편집 부국장 밀튼 콜먼은 최근 언론의 신뢰성 문제의 근원은 편집국의 논조를 결정하는 매니지먼트에 있다고 말했다. 콜먼은 관리자들은 ‘비판에 둔감하며’ 다른 기자들에 대해 제기되는 불평이나 의심스런 행동을 들으려 하지 않는다고 걱정한다. 콜먼의 주장은 뉴스 관리자들을 위한 능력 개발 프로그램이나 리더십 훈련이 거의 없는 한국 언론에도 좋은 가르침이 될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