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해 경제 분야의 세계화가 가속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뉴스미디어의 혁명이 일어나게 됐다.
중국의 인터넷 미디어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1994년 4월 20일 중국에 인터넷이 처음 도입된 이후 기존의 뉴스 미디어는 점차 인터넷 미디어의 형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2003년 말 현재 중국에는 1백47개의 온라인 미디어가 운영되고 있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China 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가 2004년 6월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중국 네티즌은 약 8백70만명이라고 한다. 이 중 인터넷 검색을 통해 뉴스를 접하는 사람의 비율은 53.1%이다.
경제 여건이 좋은 지역에서는 인터넷 미디어가 인쇄 미디어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일부 지역의 경우 네티즌 인구가 이미 전체 신문 발행부수를 넘어서고 있다. 8개 전국지가 운영하는 인터넷 미디어는 2003년 말 현재 일간 1만7천2백건의 기사를 개재해 약 7천만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주요 온라인 정보 유포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중국 인터넷 미디어의 새로운 발전 양상 전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한 형태의 정보와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 상당수의 인터넷 미디어들이 고유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단순히 모회사의 기사를 옮겨 싣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온라인 전용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둘째, 중국 인터넷 미디어는 향후에 대규모 종합 사이버 스테이션으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다수의 신문사 사이버 스테이션은 자사의 온라인 에디션이나 전자 에디션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명칭 뒤에 ‘넷’이나 ‘온라인’을 붙여 사용한다.
셋째, 규모 효율성이 높은 대규모 미디어 플랫폼의 구축이 지역별로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기존 미디어의 모든 사이버 스테이션은 기업 운영 형태로 운영될 것이다. 기존 미디어의 사이버 스테이션은 이전의 체계와 방법으로는 발전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즉, 기존 미디어의 운영 방법을 새로이 성장하고 있는 사이버 스테이션의 운영에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사회, 경제적 이익 모두에 부합하는 상생적 운영방식을 모색할 때에만 향후 인터넷에서 주요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는 사이버 스테이션을 기업 운영 형태로 운영하는 것이 대세이다. 많은 신문사의 사이버 스테이션들이 이러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중국 내 인터넷 미디어는 인터넷, 특히 와이드벨트 기술, 컷인 모드, 각종 터미널의 사용 등이 증가함에 따라 그 영향력을 더욱 확장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