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겨레 기자들 '좌불안석'

지난달 30일부터 희망퇴직 접수
신청자 적으면 정리해고 할 수도

김창남 기자  2004.12.01 10:37:10

기사프린트

‘구조개혁을 위한 기본 합의서’ 통과 이후 한겨레 분위기가 요동치고 있다.



특히 이번 1차 구조개혁을 통해 얼마만큼의 인력을 줄일 것인가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비상경영위원회(이하 비경위)의 공식 입장은 구체적인 숫자를 정해놓은 것이 없다는 것.



양상우 비경위 공동위원장은 “구조개혁을 위해 구체적인 인력 숫자를 정해 놓은 것은 없다”며 “희망퇴직 신청에 따라 향후 일정이 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비경위의 공식 입장과 달리 한겨레 기자들 사이에선 40∼1백명 선이 될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하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30일부터 11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어 향후 정리해고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영기획실 관계자는 “희망퇴직 신청자 숫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신청자가 적을 경우에는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그러나 계속해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각 업무별 적정수준의 인력을 책정한 후 정리해고를 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경영악화와 관련해 일부 ‘시니어급’ 기자들이 회사를 떠나면서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19일 한겨레 지역기자회는 성명을 통해 “우리는 마지막 창간 위원의 명예로운 은퇴마저 보장하지 못하는 상황을 지켜보면서 무거운 책임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심정을 토로했다.



이러한 상황과 맞물리면서 40대 이상 기자들 사이에선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신문업계 전체가 어려워지면서 새로운 인력에 대한 수요가 없을 뿐 아니라 다른 직장을 구하기에도 적잖은 나이이기 때문.



한 기자는 “40대 기자들의 경우 여기저기 돈 들어갈 곳이 많은 나이인데 희망퇴직을 신청하게 되면 1천5백∼2천만원 정도의 퇴직위로금과 퇴직금을 받는 게 전부”라며 “이것을 가지고 새로운 일을 찾기에는 여러모로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겨레는 희망퇴직을 신청하는 대상자에 대해 창업을 비롯한 재취업 교육을 계획하고 있으나 경기 회복이 더디면서 실효성에 대한 전망도 불투명한 상태다.



한겨레의 한 간부는 “비경위의 역할은 일단 구조개혁을 하는 것이지만 향후에는 국민주 재공모 등 모든 방법을 강구해 한겨레 살기에 나서야 한다”며 “지금은 이러한 과정으로 가기 위한 전 단계일 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