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편집국 기자들을 맥 빠지게 하는 고질적인 병폐 중 하나가 특파원 인사문제”라며 “인사권자의 고유권한이라는 논리에 밀린게 사실이지만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인사의 중요성을 부인하지 않는다면 특파원도 이제 편집국 내부의 합의를 거쳐 선발할 때가 됐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특파원 인사 때마다 후유증이 일고 당사자의 반발을 낳는 것도 납득하기 힘든 절차상의 문제 때문일 것”이라며 “문제의식을 갖고 부장과 상의하는 평기자가 없고 이를 인사권자에게 전달하겠다는 간부진도 찾기 힘든게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또 “특파원의 능력을 최대한 이끌어내기 위해 최소한 몇 개월 전에 차기 특파원을 정해야한다”며 “특파원 인사원칙을 정하고 그 원칙 안에서 합리적이고 예측 가능한 인사가 이뤄져야 불필요한 잡음과 비능률을 없앨 수 있다”고 특파원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또 노조도 3일 소식지를 통해 “지난 여름 회사의 사규 개정에 따른 사원 대량 사직사태가 최근 주요 제작 지원 부서의 ‘일손부족’ 후유증으로 이어지면서 동절기 사고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며 “신문이란 천재지변에도 불구 하루도 발행을 멈출 수 없는 독자들과의 약속이기 때문에 하루 빨리 부족인원에 대한 충원을 실시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한국 관계자는 “한국이 정상화되면서 구성원들의 필요한 부분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라며 “앞으로 회사를 운영하는데 있어 이들의 목소리를 참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