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홍보수석, 춘추관장 등의 인사설이 무르익고 있는 가운데 취재와 관련된 청와대 시스템을 전면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특히 청와대가 집권 2기에도 언론과 지나친 긴장관계를 유지해 나갈 경우, 정부정책이 제대로 보도되지 않는 등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많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높다.
청와대 출입기자들은 “브리핑제도 도입이후 보도의 자율성이 강화된 측면이 있지만 비서실동 취재 불허 등 취재제한이 많아 말만 ‘개방형’이지, 현실은 ‘폐쇄형’이다”고 꼬집었다.
때문에 출입기자들은 지난 2년 동안의 언론정책과 취재 관련시스템을 총 점검해 개선과 보완을 함께 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자들은 우선 각 수석실 등이 입주해 있는 비서실동을 상주기자들에 한해 조건부로 개방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비서실동 취재를 1주일에 1~2회 허용하되, 업무에 지장이 없도록 취재시간을 정해 출입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공식브리핑만으로는 충분한 팩트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백그라운드 브리핑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출입기자들은 “백그라운드 브리핑의 경우 수십명의 기자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그 취지에 맞지 않다”며 “외국처럼 현안에 따라 매체의 칼라·영향력·특성 등을 고려해 따로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기자들과의 관계 개선 요구도 커지고 있다. 기자들은 청와대 수석·보좌관 등 비서진이 기자들과 자주 스킨십 기회를 가지면서 유연한 관계를 쌓아가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기자들과 자주 대화하면서 정책현안을 스크린하고 지나치게 경직된 관계를 풀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일부 비서실동 출입제한이 이뤄지고 있는 현실에서 가장 큰 취재수단인 전화취재의 문제점도 보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자들은 “수석·비서관 등과의 접속률이 매우 낮아 팩트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바쁘더라도 콜 백을 해주거나, 연결이 됐을 경우 충분한 답변을 해줘야 한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현행 운영위원(과거 기자단 간사)제도의 활성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기자들이 제기한 개선점들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5명의 운영위원들(신문 방송 지방 방송카메라 사진기자 각 대표1명)이 자주 만나야 하기 때문이다.
한 운영위원은 “조만간 춘추관장이 임명되면 모든 취재시스템에 대한 제반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며 “청와대로서도 내년 2월 대통령 취임 2주년을 앞두고 언론관계를 원만하게 풀어나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