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홍석현 회장 |
|
|
중앙일보 홍석현 회장의 주미대사 내정을 계기로 정부의 對언론관계가 변화될 것이란 전망이 높다. 언론계에서는 정부가 보수신문의 대표적 사주임에도 불구하고 관료에 기용한 것은 보수언론의 상징적 구도인 ‘조중동’의 틀을 넘어서 대언론관계를 유화적으로 이끌어가려는 장기적 포석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11월에 동아 김병관 前명예회장과 조선 방상훈 사장을 잇달아 만난 사실도 알려져, 언론관계 변화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물론 중앙 홍 회장도 같은 달에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동아, 조선의 前現직 사주를 만난 것은 참여정부 출범이래 처음인 것은 물론 매우 이례적이다.
이러한 정부의 대언론 관계변화와 맞물려 조선, 동아 등 보수언론들의 논조나 보도의 변화도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이들 신문들은 18일자 사설을 통해 홍 회장의 주미대사 내정 사실에 대해 적극적 인 반대가 아닌 ‘양비론’으로 다뤘다. 두 신문은 같은 날 1면과 속지에 노무현 대통령의 방일 성과를 3단 크기의 사진과 함께 게재, 눈길을 끌기도 했다. 그동안 노 대통령은 지난 9월부터 4차례에 걸쳐 모두 11개국 순방을 했지만 이들 신문들이 이처럼 상세하게 다뤄준 경우는 별로 없었다.
때문에 언론계 안팎에서는 홍 회장의 주미대사 내정에 대해 “참여정부 출범 3년차를 앞두고 경직된 정부와 언론관계를 풀어나갈 절호의 타이밍”으로 해석하고 있다.
또한 정부도 이제 뉴미디어시대의 언론정책, 나아가 국내언론의 국제적 영향력 차원에서 거시적 언론정책을 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개혁시민연대와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17일자 성명을 통해 홍 회장의 주미대사 내정을 반대하고, 일부에서는 언론개혁이 후퇴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하고 있다.
광운대 주동황 교수(미디어영상학부)는 “참여정부는 지난 2년 동안 언론관계의 불건전한 유착관계를 끊는 차원에서 기자실을 개방하고 사무실출입을 제한해 왔다”며 “언론관계 개선을 한다고 하더라도 언론개혁의 기조가 흔들려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특정언론과 불편한 관계가 국정홍보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목소리가 있는 만큼 일부 관계개선이 되지 않겠느냐”며 “다만 건강한 긴장관계라는 큰 틀의 언론정책은 변화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