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5회에 걸쳐 오보반성 시리즈를 게재하고 있다. 특히 중앙은 올해 신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실(fact)보도와 분석보도를 엄격히 분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보가 많았다고 고백했다.
중앙은 20일 ‘2004 바로잡습니다’ 시리즈를 통해 “무리한 욕심이 오보를 불렀다며 새해엔 신중에 신중함을 기하겠다”고 다짐했다.
또한 올해 본사의 잘못된 기사로 피해를 보신 당사자들과 독자들에게 충심의 사과를 전했다.
중앙은 이날 첫 회로 정치 분야의 오보사례를 지면전체를 할애해 실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핵심측근의 말을 듣고 예상해 보도한 노무현 대통령 ‘10분의1 회견’ 예측보도의 잘못을 들었다.
또한 ‘문희상 차기총리 급부상’이란 기사도 결과적으로 ‘인사오보’였음을 인정했다.
중앙은 21일에도 국제·통일외교 분야의 오보를 다뤘다. 국제부는 “외신을 그대로 옮긴다거나 ‘비밀의 장벽’ 너머의 실체를 어림짐작해야 했기에 빚어진 일들 이었다”고 자성했다.
오보사례로는 ‘한국 핵물질 안보리로’란 기사를 들었다. 이 기사는 미국 국무부 볼턴 차관보의 말을 듣고 썼으나, IAEA이사회는 한국문제를 안보리에 회부하지 않아 결국 오보로 남게 됐다.
북한 양강도 폭발원인 및 장소에 대한 기사도 ‘잘못된 보도였다’는 것을 밝혔다. 이 기사는 정부관계자를 과신했다가 빚어진 대표적인 오보로 지적됐다.
중앙은 앞으로 경제·산업분야를 비롯해 사회, 문화·스포츠 분야에 대해서도 대표적인 오보사례를 게재할 방침이다.
김교준 정치부장은 “정치인의 말을 취재하는 정치부 기자는 그 말과 현실사이에서 냉정한 균형감각을 가져야 한다”며 “특종을 열 번하는 것보다 오보 하나를 막는 게 더 중요하다는 자세를 가다듬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