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개방형 지역민방 만들자"

언개연 등 'iTV 어떻게 할 것인가' 긴급토론회

손봉석 기자  2004.12.30 12:21:51

기사프린트

방송위원회의 재허가 추천거부로 iTV가 청산절차를 밟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소유구조에서는 공익재단과 시민이 직접 주주로 참여하는 ‘공익적 민영방송’이, 편성에서는 지역프로그램 제작과 외주제작을 병행하는 ‘개방형 지역민방’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지난달 29일 방송위에서 언론개혁시민연대,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인천범대위,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노총, 한국노총, 한국언론정보학회 공동주최로 열린 ‘iTV,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긴급토론회에서 전북대 김승수 교수는 지역프로그램과 외주제작 프로그램을 함께 방영하는 ‘개방형 지역민방’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지역 시청자, 방송종사자, 기업, 외주제작사 등이 지분 소유에 고루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며 “편성의 50%를 자체 제작으로 충당하여 지역 정보와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고, 나머지 50%를 외주 제작사에 맡김으로써 프로그램 제작 시장의 다변화를 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새로운 지배주주 선정에 대해서는 ‘비영리공익재단법인’이 30%의 지분을 갖고 ‘시민주주’로 경인지역 시청자가 21% , 일반주주, 기업, 외주제작사가 49%의 지분을 소유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 이를 통해 소유와 경영의 분리, 사장공모추천제도입, 시청자위원회강화, 편성권독립, 내부민주주의와 같은 방송의 기본가치가 충실히 구현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전국언론노조 양문석 전문위원은 공익적 민영방송의 3가지 핵심과제에 대해 “첫째는 소유구조개편으로 지배주주의 전횡과 독선 그리고 방송의 사유화를 견제하기 위해 ‘비영리공익재단’이나 ‘우리사주조합’ 등을 통해서 최소한의 견제를 가할 수 있도록 소유지분을 제한하자는 것”이라며 “이는 언론개혁진영에서 주장하고 있는 방송사업자의 소유지분제한론과 하나도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장공모추천제나 본부장 중간평가제 등을 통해서 방송사 내부의 민주적 경영과 편성정책을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과 지역성 강화, 뉴스의 공정성, 지역민 참여프로그램 의무편성 등 지역민영방송으로서 위상을 제고할 수 있도록 실제 프로그램을 편성할 것을 나머지 두 가지 핵심과제로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훈기 iTV노조위원장, 평화와 참여로 가는 연천연대 박길상 사무처장, 단국대 언론영상학부 김평호 교수, 인천대 반현 신방송문학과 교수, 서강대 원용진 신방과 교수 등이 토론자로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