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왜 세무조사 않는가. 언론사 세무조사가 왜 문제인가. 10대 언론사 부채 총액이 수조 원에 달하는 실정이다. 다른 기업 부채 규모가 많다고 연일 지면으로 공격하는 언론사들이 제대로 세금 냈다는 얘기 들어본 적이 없다. 어느 업종보다 낙후한 회계기법과 세무처리기법을 갖고 있는 게 언론사다. 이는 그런 기법들을 발전시키지 않아도 잘 살 수 있다는 반증이다."
한겨레 최학래 사장은 21일 월간 '기자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무대책에 가까울 정도로 언론개혁에 관해 무관심한 정부를 향해 질책을 가했다. 소수 신문들의 여론시장 독점 구조를 타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소수 신문들은 여론만 독점하는 데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광고도 독점하고 있어 새로운 생각을 여론 시장에 상장시키는 신문의 생존이 기본적으로 박탈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사장은 "최고 경영자로서 신문을 운영하다 보니 정말 심각한 상황"이라면서 "새로운 제도가 필요한 게 아니라 다른 기업들을 규제하는 여러 수단만 언론계에 공평하게 적용해도 상황은 엄청나게 달라진다"고 단언했다.
방송법 제정을 집권 2년 간 이 정권의 유일한 언론 정책으로 평가한 최 사장은 "앞으로도 정부는 언론 개혁을 하지 못할 것"으로 여겼다. 최소한의 규제를 하더라도 정권을 내놓는다는 각오를 해야 할텐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이란 애기다. 결국 "언론 관련 시민단체들을 주축으로 다른 영역의 모든 시민단체, 전현직 언론인들이 연대, 독재 정권에 항거하는 정신자세로 언론개혁을 이루어야 한다"는 게 최 사장의 소신이자 바람이다.
한겨레 경영에 관해선 "올해 40억 원 가량의 흑자를 냈으나 회계처리상 액수가 포함되고 손실액을 제하지 않아 공표될 손익 계산서에는 걱정스런 숫자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최 사장은 또 기자들에게 소송에 대비, 엄격한 확인 과정을 밟을 것을 주문했다. 그렇지 않으면 "기자도, 신문사도 운명이 달라질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