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특히 신문이 다른 산업과 다른 점은 저널리즘을 가장 강하게 실현한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이윤을 위한 영업활동'이라는 일반 기업과 달리, '저널리즘 활동을 위한 이윤 추구'라는 가치기준을 잊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김부기 매일신문 사장은 월간 <기자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평소 언론관을 피력하며 국민의 알권리에 복무하는 저널리즘의 올바른 구현을 강조했다.
김 사장은 특히 "지역언론은 해당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책임져야 한다"며 수도권 위주의 정부 정책을 비판했다. "국민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균형발전이 절대적인데도 국민의 4분의 3이 사는 지방은 정책 고려 대상에서 극히 일부만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사장은 위천공단 논쟁을 예로 들며 "서울의 시각에서 보면 지역 이기주의적인 측면이 있겠지만 이를 주장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면서 "지역언론은 지역의 모습을 과부족 없이 비추는 거울 역할을 하면서 지역사회를 위해 보다 많은 이해와 비판의 자세를 명확히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편집권과 관련해서는 "지면제작엔 전혀 관여하지 않으며 편집국과 논설실을 믿고 일을 맡기고 있다"면서 "발행인의 권한은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매일신문은 IMF 여파로 적자를 기록한 이후 99년부터 다시 흑자기조로 돌아섰다. 김 사장은 이같은 경영 호전에 자신감을 표하면서 우선적으로 해외연수 부활, 인력 충원 방침을 밝혔다. 아울러 "섬세한 지역 취재망과 지역의 특성을 살린 콘텐츠를 갖춘다면 디지털은 지역언론에도 상당한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올해부터 디지털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원 소스, 멀티 유'를 위한 조직 내부 체제 정비도 조만간 단행할 것이라는 계획과 함께 "급격한 불황이나 광고·판매시장의 포화에 대비해 수익원을 다변화하는 작업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71년 사제 서품을 받은 뒤 로마 유학, 대구가톨릭대 교수를 거쳤으며 성당에서 사목활동을 하다가 92년 매일신문 사장으로 취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