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9월 06일 15시 40분
나쁜 저널리즘 - 박기묵 노컷뉴스 기자
[단신/새로 나온 책]
육아휴직 기간, 언론인이면서 동시에 독자의 시각으로 언론 보도와 시민들의 인식을 지켜본 저자는 안타까움을 멈출 수 없었다고 했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지, 어떻게 하면 다시 언론이 대중에게 신…
아시아경제 사건팀, 노조격려금 전액 아동기구에 쾌척
젊은 기자들이 먼저 기부 제안
아시아경제 사건팀이 노조의 격려금을 전액 아동지원기구에 쾌척해 눈길을 끈다.아시아경제 사회부 사건팀 지연진 차장(당시 캡, 현 자본시장부), 고형광 차장, 이관주송승윤유병돈정동훈이정윤 기자…
신뢰 표방하며 출범했던 ABC제도… 19년 후 불거진 '부수 조작 의혹'
[저널리즘 타임머신] (54) 기자협회보 2002년 3월 6일자
신문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발행부수를 공개해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광고거래가 이루어지기 바란다.2002년 2월27일 당시 민병준 광고주협회 회장은 정기총회에서 올해를 신문부수공사 정착의…
홍색기인(紅色基因)
[글로벌 리포트 | 중국] 이재호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음력 설) 연휴 기간에 베이징 중심가 톈안먼 광장 인근의 중국미술관을 찾았다. 소의 해인 신축년을 맞아 소와 관련된 회화조각 등 각종 예술 작품을 전시한다는 말에 호기심…
기후위기 극복이라는 시대정신
[언론 다시보기] 오동재 기후변화청년모임 BigWave 운영위원
학부 마지막 학기가 끝났던 2019년까지 필자는 기후변화에 관심 많은 언론사 지망생이었다. 본격적인 수험생 생활 시작을 앞두고 언시생들이 한 번쯤 찾는다는 한터(한겨레 배움터)에서 기초 강의도…
언론사와 기자도 펜데믹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
[이슈 인사이드 | 뉴미디어] 김연지 CBS 산업부 기자
뉴욕타임스가 팬데믹 속에서 날아올랐다. 지난 한해에만 디지털 구독자가 230만명 늘었다. 디지털과 지면을 포함한 전체 구독자는 750만명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구독자 증가는 매출로 이…
'한국 언론의 역사' 3부작 영상에 담는다
삼성언론재단, 정진석 교수의 '한국 언론사' 영상 콘텐츠 제작
삼성언론재단이 한국 언론사 연구의 권위자인 정진석 한국외대 명예교수의 한국 언론과 현대사 강연을 3부작 영상 콘텐츠로 제작했다.삼성언론재단은 구한말 시대의 언론사를 다룬 정 교수의 1부 강연…
경향신문 편집국서 종이컵이 사라졌다?
"기사만 쓰는 게 아니라 직접 실천 해보자는 구성원 제안에서 시작"
경향신문 편집국 구성원들은 지난달부터 편집국 안에서 종이컵 쓰지 않기 캠페인을 실천하고 있다. 지난달 10일 경향신문 사옥 6층 편집국에 있는 정수기, 커피 머신 앞에 종이컵을 비치하지 않는다는…
정정당당하지 못한 정정보도
'정정보도 크기·시간, 원 보도 2분의 1 이상 의무화' 입법 추진… 인색한 정정보도, 이대로…
더불어민주당이 입법을 추진 중인 언론 관련 6개 법안에는 정정보도 크기나 시간을 원 보도의 2분의 1 이상으로 의무화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애초 발의된 법안이 최초 보도와 같은 시간분량 및 크기…
기협만평 202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