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 YTN 유상증자로 39.2% 확보... "대선 전 영구장악 음모"

총 200억 규모... YTN "미래 위한 투자, 방통위 이행조건"
노조 "1달 만에 거짓말... 가담자 고발, 청문회서 진상규명"

YTN이 임시 이사회를 열고 2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신주 발행 안건을 21일 의결했다. 이에 따라 유진그룹의 YTN 지분이 기존보다 10%p 가량 증가한 약 40%에 달하게 됐다.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는 윤석열 정부 당시 불법·졸속 논란 끝에 최대주주가 된 유진그룹이 “대선으로 정치 권력이 교체돼도 YTN을 영구장악 할 수 있는 토대를 미리 마련해놓겠다는 속셈”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김진구 유진 ENT 대표이사가 지난해 10월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방송통신위원회, YTN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YTN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회사의 미래경쟁력 확보를 위한 선제적 투자”, “최다액출자자 변경 당시 부과된 방송통신위원회 이행 조건”이라며 제3자 유상증자 안건을 이사회에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전자공시에 따르면 YTN은 200억원 규모에 해당하는 567만 7000여주를 신주 발행하며 이를 유진이엔티에 배정했다. 유진이엔티는 지난해 방통위 의결로 공적 지분을 지녔던 YTN의 최대주주가 민간기업 유진그룹으로 바뀔 당시 기존 지분인수 등을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회사다.


YTN 관계자는 “최다액출자자 변경승인 2년차로 증자 연한인 내년보다는 선 투자 집행”, “최대주주의 책임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유상증자와 제3자 배정방식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창출된 200억원의 현금을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5년 내에 완성하려면 올해 내 투자 집행은 필수적”이며 이 돈을 인공지능(AI), 디지털 인프라, 콘텐츠, 인력 양성에 집중 투자한다고도 했다.


언론노조 YTN지부는 이에 대해 “유진그룹이 대선 국면의 정치 혼란기를 틈타 YTN을 완전히 장악하려는 음모”라며 반발했다. 이번 증자로 유진그룹의 YTN 지분은 기존 30.95%에서 방송법상 최대치(40%)에 가까운 39.2%로 높아졌다. YTN지부는 “다른 대주주 지분을 모두 합쳐도 최대주주 자격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지분율을 끌어올리게 되는 것”이라며 “유진그룹 스스로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200억원이라는 거액을 한꺼번에 투자하겠다는 건 대선이 끝나기 전에 YTN 지분을 안정적으로 확보해놓겠다는 의도 외에는 합당한 이유를 찾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지난달 YTN 정기주주총회에서 종류주식과 전환사채, 스톡옵션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사회 구성을 바꾸는 등 정관 변경이 이뤄지며 우리사주조합원, YTN지부가 유진그룹의 ‘영구 장악’ 시도라며 반발했을 당시와 사측 말이 바뀐 것도 지적됐다. YTN지부는 “회사는 당시 표준약관을 준용해 YTN의 정관을 일부 업데이트 했을 뿐 신주나 사채 발행 계획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불과 한 달도 지나지 않아 유진그룹이 장악한 이사회를 통해 신주 발행 안건이 통과되면서 회사의 설명은 새빨간 거짓말로 드러났다”고 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위원회는 30일 YTN 민영화 논란 등 윤석열 정부 언론장악 관련 청문회를 예정한 상태다. YTN지부는 “공공성이 최고 가치이자 존재의 이유인 보도전문채널 YTN은 절대 천박한 자본에 장악당하지 않는다”며 “윤석열 정권과 YTN지분을 불법 거래한 유경선 회장 등 가담자들을 검찰에 고발해 법에 따라 처벌받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내란 세력과 결탁해 극우 유튜버 사장을 내리꽂고 방송을 정치 선전도구로 삼기 위해 정치권력과 어떤 더러운 거래를 했는지 국회 청문회에서 낱낱이 진상을 규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