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 구성원들이 서울시 출연기관 해제 이후 처음으로 ‘공영방송 정상화’를 선언하며 새출발을 다짐하는 자리를 가졌다. 그러나 사측에서 이를 “구성원 일부의 입장”이라며 선을 긋는 등 내부 이견과 갈등도 드러났다.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는 22일 서울 마포구 TBS 라디오공개홀에서 ‘공영방송 정상화’ 선언식을 개최했다. TBS지부는 이날 선언문을 통해 부당한 탄압에 침묵하고 권력의 압박에 굴복했던 과거를 성찰하며 공영방송 역할로 되돌아가겠다고 밝혔다. TBS지부는 “공영방송의 자율성과 시민의 알 권리를 복원하는 출발점”이라고 이번 선언의 의미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굴종의 ‘TBS 혁신안’ 전면 폐기 △시사·보도 기능 복원 △정치검열 ‘블랙리스트 제도’ 철폐 △비공개 시사 콘텐츠 복원 △김어준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 반대 등 공영방송 정상화를 위한 ‘5대 복원’ 조치도 함께 제시했다.
그러나 이날 선언식을 앞두고 TBS가 설명자료를 내어 “(5대 조치) 모두 재단의 경영권 및 편성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언론노조 TBS지부의 일방적 주장이며 재단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고 선을 긋고 나섰다. TBS는 이에 해당 시설 사용을 불허했으며, 다수 노조인 TBS노동조합은 이번 선언에 불참했다고 알리기도 했다.
TBS지부는 22일 다시 성명을 내고 ‘경영권 및 편성권 침해’ 주장은 “사실을 은폐하고, 책임을 회피하려는 정치적 프레임”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이 선언은 노동조합의 고유한 권리이며, 공영방송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약속이다. 그 어떤 외압도, 어떤 행정권도 시민의 이름으로 말하는 이 선언을 막을 권리는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