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뉴스룸국·논설실도 개입 못하는 '오피니언 에디터' 있다는데…

콘텐츠 최종책임자도 개입 못 해
구성원들 "조직 시스템 개편해야"

뉴스룸국(편집국), 논설위원실과 별도로 운영되는 한국일보 특유의 오피니언 조직 시스템을 개편해야 한다는 내부 구성원들의 지적이 나왔다. 안팎으로 비판을 부른 성낙인 전 서울대 총장의 칼럼을 비롯해 오피니언 에디터 조직에서 진행한 기획 등에 대한 문제의식이 누적된 결과다. 한국일보 민주언론실천위원회(민실위)는 19일 발행한 소식지를 통해 “콘텐츠 실무 최종책임자인 뉴스룸국장, 오피니언 총책임자인 주필과 논설실장도 개입할 수 없는 구조”에 대해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일보 민실위는 4월2일자에 실린 성낙인 전 총장의 칼럼 <국민들도 하해와 같은 마음으로 용서하자>에 대해 “내용 제목 모두 부적절했다. ‘대통합’이라는 주제에 걸맞는 최소한의 균형감조차 갖추지 않은 글”이라고 비판했다. 성 전 총장은 당시 칼럼에서 “국정운영에 발목을 잡은 거대 야당도 비상계엄 촉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했고, 내란이 미수에 그쳤으니 “탄핵 기각 또는 각하도 얼마든지 논리 전개가 가능하다”고 썼다. 칼럼이 나간 뒤 SNS 등에선 항의와 질타가 쏟아졌다. 내부서도 “계엄을 가장 먼저 ‘불법’으로 규정하고 엄중히 비판했던 한국일보 구성원들의 노력이 칼럼 한 건으로 물거품이 됐다”는 비판이 나왔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 오피니언 에디터가 진행한 ‘위기의 보수’ 기획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민실위는 “보수가 보수를 비판한다는 취지와 다르게 1회 인명진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인터뷰에서부터 ‘야권과 민주노총 비난’이 튀어나왔다”고 보도 내용을 지적하며 “이 기획은 국장단도 불과 게재 며칠 전 ‘한 면을 비워 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뿐 여타 의견을 낸 바는 없었다”고 제작 과정에 대한 의문도 제기했다.


외부 칼럼과 기고를 관리하는 오피니언 에디터는 콘텐츠본부 산하로 편제돼 있는데, 일련의 사태를 거치며 “오피니언 편집권을 논설위원실이나 뉴스룸국으로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민실위는 “과거 편집국 안에 있는 여론독자부가 칼럼과 기고를 관리했기 때문에 글의 방향성이 편집국과 어긋나지 않았다”면서 “개편이 어렵다면 외부 칼럼 및 기고와 관련해 보도준칙을 마련하는 것도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한국일보 관계자는 “외부 필진만 해도 80여명이라 전문적으로 관리할 조직이 필요했고, 오피니언 콘텐츠 강화 추세가 이어지며 별도 조직으로 확대됐는데 편집국, 논설실 등을 거쳐 어디에 소속을 두느냐에 대한 고민이 지속돼 왔다”며 “후배 기자들의 문제의식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만, 관리가 잘 안됐던 성낙인 칼럼 사례 하나로 조직을 바꾸는 방안은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위기의 보수’ 기획에 대해선 “네 편 중 처음이 문제가 있었던 거지, 나머지 편들은 내용이 좋았다”면서 “결국 소통의 문제였던 거 같다. 편집국과 사전에 교감하고, 소통하는 시도가 필요하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