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검증은 계속되어야 한다

우리의 주장

제 17대 대통령 선거가 오늘(19일)로 모두 끝난다. 공식 선거운동 기간 22일 포함, 최소 6개월 남짓의 대선 레이스가 끝나는 셈이다.

이번 대선은 지난 1987년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된 이후 가장 싱거운 선거로 기억될 정도로 한 후보의 일방적 독주로 일관됐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면 특정 후보의 크고 작은 도덕성, 불법 시비가 일제히 드러났다. 의혹은 해소되지 않았고 엄청난 뇌관으로만 남아있다. 그래서 특검도 실시한다.

다시 ‘이명박 후보’를 얘기하고자 한다.

이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됐건, 당선되지 않았건 관계없다. 그에게 쏟아졌던 불법, 탈법, 편법의 부정부패 의혹은 여전하다. 노골적으로 이명박 후보 편들기에 나섰던 수구 언론들의 검증은 부실하고 미흡했다. 주요 언론들이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린 당연한 결과물로서 국민들의 인식도 이명박 후보의 불법 사례, 탈법 사례를 사실상 용인하는 범주안에서 맴돌고 말았다. 또한 진실을 보도하려는 언론에 대해 이명박 후보측이 내뱉었던 겁박은 이미 도를 넘어서서 역사와 시대의 반동을 보여줬다.

이 덕분에, 안타깝게도, 승자에 대한 축하와 패자에 대한 위로는 우리에게는 한가한 일처럼 되고 말았다.

뒤늦었지만 지난 17일 국회에서 도입 결정된 특별검사의 수사가 ‘검찰의 이명박 면죄부 발급’을 뛰어넘을지 지켜볼 일이다. 여러 보도에서도 이미 드러났듯 이명박 후보가 자신의 입으로 “BBK를 내가 만들었다”고 말한 사실이 명확히 확인된 만큼 앞으로가 더욱 중요하다.
언론이 지난 대선 기간 동안 보여줬던 모습처럼 ‘이미 승부가 난 게임이니까’하는 심정으로 ‘승자’ 혹은 ‘패자’에게 관대한 정치적 판단을 내린 채 단순 중계 보도에 그치거나 정치적 논란거리로만 치부한다면 진실은 영원히 묻히고 말 것이다.

다시 절박하게 민주주의와 원칙을 이야기해야할 때다.

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 민주주의 체제는 진화와 발전을 거듭했다. 절차적 민주주의의 완성과 함께 사회적 지도자의 도덕성에 대해 더욱 엄격한 기준을 갖게 했다. 장상씨, 장대환씨 등은 자녀 위장전입 사례 하나만으로 국무총리 청문회에서 낙마하고 말았다. 한국 사회의 도덕성 수준과 부패에 대한 자정의식이 높아졌음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였다.

이렇듯 한국 사회에는 공직자가 갖춰야할 책임의 기준이 확보됐으며 권력을 부당하게 행사하지 않도록, 법을 부정하는 재산축적이 없도록 스스로 돌아보는 분위기가 마련됐다.

개인의 탐욕을 앞세워 공공의 이익을 무시하고, 거짓말 퍼레이드를 벌여내고, 자녀교육을 위해 불법 위장 전입을 일삼고, 확인된 것만 수백억원대의 재산가가 자녀들을 위장 취업시켜 1백만~2백만원의 월급을 지급하며 탈세하고, 언론 토론회를 거부하는 식으로 국민의 알권리를 짓밟는 사례 등만 갖고도 이미 사회의 지도자가 될 수 없는, 결격 사유로 충분하다.

여기에 도곡동 땅, 다스, BBK, 김경준, 에리카 김, 방송 협박 등 ‘지도자 이명박’에 대한 판단을 유보해야할 언어들은 넘쳐난다.

다시 언론의 책임과 역할을 성찰해야 한다.

우리 언론들은, 기자들은 한국사회 발전과 역사의 진보를 이루는데 한 몫을 해왔다. 대선이 끝났다고 해서 언론의 역할까지 마무리되는 것은 아니다. 진실에 대한 끝없는 추구와 함께 한국 사회의 원칙과 도덕성의 기준을 정립하는데 최선을 다해야할 것이다. 그때 비로소 한국 언론 역시 역사 앞에 당당할 수 있을 것이다.

제 살점을 베어내듯 고통스럽더라도 눈앞에 버젓이 벌어지고 있는 일의 진실을 파헤치고 얘기해야 한다. 우리는 기자니까. 그래서, 검증은 계속되어야 한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