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또 취재통제 논란
지난해 8월 이어 스크린도어 설치 추진
기자들 반발로 하루만에 철회
민왕기 기자 wanki@journalist.or.kr | 입력
2009.04.15 14:04:14
기획재정부가 과천정부청사에 스크린 도어 등 보안시스템 설치를 추진했으나 출입기자들의 반발로 철회됐다. 지난해 8월에도 같은 시도를 하다 기자들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어 ‘취재 통제 및 봉쇄 시도’라는 우려가 일고 있다.
재정부 출입기자단은 8일 긴급회의를 갖고 “사실상의 언론 통제 행위와 다를 바 없다”며 반대 입장을 전달했으며 재정부는 반발이 거세지자 하루 만에 이를 번복했다.
재정부 대변인은 이에 대해 “예산 담당 부처에 민원인이 통제되지 않아 추진한 것”이라며 “기자들에게 출입증을 발급하겠다고 했지만 취재 통제로 받아들여 철회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재정부는 4월 중 조달청 입찰공고를 거쳐 5월 중순부터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었다. 윤증현 재정부 장관도 사실상 스크린도어 설치를 승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이런 보안통제 움직임이 국민일보의 ‘경인운하의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재정부의 내부 보고서가 만들어졌다’(3월 23일자 1·3면)는 제목의 보도 때문인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당시 재정부는 국민일보가 내부 보고서를 입수해 보도하자 보고서 유출 경위에 대한 내부 조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한 재정부 출입기자는 “보안시스템이라는 명목으로 기자들의 동선을 감시하고 출입을 통제하는 것은 결국 취재활동과 언론 자유, 국민의 알권리를 위축시키는 것”이라며 “지난해 논란에 이어 다시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려 한 것은 명백한 취재 통제 의도”라고 비판했다.
조선일보 김영진 기자는 ‘기자실 대못질 흉내 내는 재정부’라는 제목의 기자칼럼에서 “스크린 도어는 기자실에 대못질을 했던 노무현 정부가 기자들의 부처 사무실 출입을 막으려고 설치했던 언론 통제의 상징물 중 하나였다”며 “기획재정부는 지난 2월 국가경제정책의 기밀사항이 담긴 내부 업무망을 외부 세력에게 해킹당했다. 스크린 도어를 설치해 기자들의 출입을 막으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라고 질타했다.
한편 재정부는 지난해 8월 4억5천만원의 예산을 책정해 스크린도어와 CCTV 설치를 추진, 행정안전부의 공공청사 개방 지침 중 ‘방호 및 보안계획’에 따른 것이라는 의혹을 받아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