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기자들 '보복성 인사' 성토

간부 로비의혹 제보한 기자 자회사 파견
공채2~12기 잇단 성명…사측 "사전 협의"


   
 
  ▲ YTN노동조합은 23일부터 사측의 보복성 인사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무기한 1인 피켓시위’에 돌입했다. 하성준 노조 사무국장이 이날 서울 중구 남대문로 YTN사옥 1층 로비에서 1위 피켓시위를 벌이고 있다. (YTN노조 제공)  
 
YTN 공채 기수별로 잇단 성명을 통해 “사내 간부의 의혹을 제보한 기자에 대해 보복성 인사를 했다”며 사측을 성토했다.

YTN노동조합(위원장 김종욱)은 19일자 인사에서 지난달 초 회사 간부가 검찰 고위 간부들을 상대로 ‘공연 티켓 로비’를 벌인다는 의혹을 노조에 제보한 사회부 법조팀 전모 기자를 자회사인 Digital YTN에 파견한 것에 대해 보복성 인사라며 회사 측을 비난했다.

Digital YTN은 2003년 4월 YTN과 NHN이 50%씩 지분을 참여한 합작회사로, 출범 당시 자원한 기자를 파견한 이후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노조 측 주장이다.

이 때문에 노조와 공채 기수별 대표, 기자협회 등은 19일 긴급 연석회의를 열고 인사 전횡과 비상식적인 인력 운용 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보복성 인사 철회와 함께 공식사과 및 재발방지 약속 등을 회사 측에 요구했다.

노조는 20일 성명을 내고 “회사 간부가 검찰 고위 간부들을 상대로 ‘공연 티켓 로비’를 벌인 사실을 노조에 제보한 데 대한 사측의 앙갚음으로밖에는 볼 수 없다”고 밝혔다.

또 노조는 20일 긴급 대의원대회에서 비상체제 전환을 결정하고 배석규 사장의 독단 경영 저지와 부당 인사 철회를 위해 총력 투쟁에 나설 것으로 밝힌 데 이어 23일부터 출퇴근 및 점심 시간을 이용해 ‘무기한 1인 피켓 시위’에 돌입했다.

이와 함께 이번 인사를 비난하는 기수별 성명도 이어지고 있다. 24일 현재 공채 2기부터 12기까지 기수별로 잇달아 성명을 내고 이번 인사를 힐난하며 인사 철회를 촉구했다.

김종욱 노조위원장은 “계열사 간 인사의 경우 노조와의 협의가 필요한 단협 사안”이라며 “단순히 인사권이라는 이유로 제고를 하지 못한 것은 인사전횡에 불과하고 오히려 이번 인사를 통해 사내 공포정치를 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회사의 한 관계자는 “비록 자회사이지만 업무 협력을 통해 파견하도록 돼 있고 해당 기자한테 사전에 협의했다”며 “불법적인 집단행위에 대해선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