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만족도 2년 연속 하락세…이직 고려 늘어나
한국기자협회 창립 47주년 기자 여론조사
장우성 기자 jean@journalist.or.kr | 입력
2011.08.17 15:34:24
<복지>
“현재 직업 만족”77%…지난해보다 7.4%p 하락
“급여 불만족” 62.3%…지역일간지 등 크게 떨어져미디어환경의 급변과 언론사의 경영 악화를 반영하듯 기자 직업 만족도는 하락하고 이직을 고려하는 기자들은 늘어났다.
현재 직업에 대해 만족한다는 기자는 77.0%(매우 만족 18.9%, 다소 만족 58.1%)였으며 불만족은 21.2%(매우 불만족 5.5%, 다소 불만족 15.7%)로 나타났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지난해 84.4%에서 7.4% 줄어들었으며 불만족 응답은 15.6%에서 5.6% 늘어났다.
2006~2009년 4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던 직업만족도는 2009년 87.1%에서 지난해 84.4%로 2.7% 떨어진 뒤 2년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직업 불만족도는 경제신문(30.1%), 차장급(32.0%)에서 특히 높았다.
이직을 고려하는 기자들도 늘어나 고려한 적 없다는 응답을 추월했다. “이직을 고려한 적 있다”는 응답은 54.3%(자주 있다 10.0%, 가끔 있다 44.3%)였으며 “고려한 적 없다”는 44.5%(전혀 없다 20.7%, 별로 없다 23.8%)로 나타났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이직을 고려한 적 있다”가 45.6%로 “고려한 적 없다”보다 54.0%보다 적었다.
이직을 고려했다는 응답은 지역별로는 지역일간지(62.7%), 부서별로는 경제부(65.3%), 직급별로는 차장급(64.0%)에서 높게 나타났다.
급여 만족도는 다소 상승했으나 여전히 만족하지 못한다는 답변이 많았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35.9%(매우 만족 5.9%, 다소 만족 30.0%)였으며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은 62.3%(매우 불만족 21.1%, 다소 불만족 41.2%)였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지난해 31.4%에 비해 4.5% 늘어났고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은 68.6%에서 6.3% 줄어들었다.
급여만족도는 지역일간지(70.7%), 사회부(76.5%), 차장급(80.6%)에서 크게 떨어졌다.
<설문항목>
1) 이명박 정부 임기 4년 동안의 정부 언론정책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① 매우 잘하고 있다 → 문 2로
② 잘하는 편이다 → 문 2로
③ 못하는 편이다 → 문 3로
④ 매우 못하고 있다 → 문 3로
⑤ 모르겠다 → 문 4로
2) 가장 잘한 정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문 4로
① 미디어법 개정
② 신규 방송사업자(종편, 보도채널) 허가
③ 기자실 복원
④ 국정홍보처 폐지
⑤ KBS 수신료 인상 추진
⑥ 지역신문발전법 연장
⑧기타( )
⑨ 모르겠다
3) 가장 잘못한 정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언론사, 언론기관장 인사 논란
② 미디어법 개정
③ 신규 방송사업자(종편, 보도채널) 허가
④ KBS 수신료 인상 추진
⑤ 기사, 보도 외압 논란
⑥ 언론인 해직 및 징계
⑦ 기타( )
⑧ 모르겠다
4) 차기 대통령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인물을 한명만 말씀해 주십시오.
① 김두관 ② 김문수 ③ 문재인
④ 박근혜 ⑤ 손학규 ⑥ 안희정
⑦ 오세훈 ⑧ 유시민 ⑨ 이재오
⑩ 이정희 ⑪ 이회창 ⑫ 정동영
⑬ 정몽준 ⑭ 기타 ( ) ⑮ 없다
5) 차기 대통령으로 당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생각되는 인물을 한명만 말씀해 주십시오.
① 김두관 ② 김문수 ③ 문재인
④ 박근혜 ⑤ 손학규 ⑥ 안희정
⑦ 오세훈 ⑧ 유시민 ⑨ 이재오
⑩ 이정희 ⑪ 이회창 ⑫ 정동영
⑬ 정몽준 ⑭ 기타 ( ) ⑮ 없다
6) 차기 대통령으로 가장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인물을 한명만 말씀해 주십시오.
① 김두관 ② 김문수 ③ 문재인
④ 박근혜 ⑤ 손학규 ⑥ 안희정
⑦ 오세훈 ⑧ 유시민 ⑨ 이재오
⑩ 이정희 ⑪ 이회창 ⑫ 정동영
⑬ 정몽준 ⑭ 기타 ( ) ⑮ 없다
7) 차기 대통령 선거의 화두가 될 필요성이 가장 높은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사회통합 ② 복지 ③ 통일·안보
④ 선진국 진입 ⑤ 민주주의, 인권 ⑥ 경제 성장
⑦ 기타( ) ⑧ 모르겠다
8) 차기 대통령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미디어 정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미디어 광고 시장 확대
② 특정 언론 특혜 금지
③ 낙하산·측근 언론사 및 언론기간 사장 임명 등 언론장악 불가 천명
④ 신문 등 활자매체, 지역 언론 등 지원
⑤ 기타( )
⑥ 모르겠다
9) 국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는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소속사, 계열사 제외)
10) 국내에서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는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소속사, 계열사 제외)
11) 곧 개국할 종합편성채널 중 시장 조기 안착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은 어디라고 보십니까?
① MBN(매일경제) ② jTBC(중앙일보)
③ 채널A(동아일보) ④ TV조선(조선일보)
⑤ 모르겠다
12) 미디어렙 논란과 관련해 종편의 광고 직접 영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찬성한다 ② 찬성하는 편이다
③ 반대하는 편이다 ④ 매우 반대한다
⑤ 모르겠다
13) 종편 등장 이후 취재환경, 시장 등 미디어 환경에 대해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① 매우 좋아질 것이다 →문14
② 다소 좋아질 것이다 →문14
③ 다소 나빠질 것이다 →문15
④ 매우 나빠질 것이다 →문15
⑤ 모르겠다 →문16
14) 미디어 환경이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논조의 다양성 확보 및 콘텐츠 향상
② 미디어 광고 시장의 확대
③ 경쟁력있는 글로벌 미디어 그룹의 출현
④ 언론 인력 시장의 확대
⑤ 기타( ) ⑥ 모르겠다 →문16
15) 미디어 환경이 나빠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언론사 경영 악화
② 경쟁 심화로 보도 질 하락
③ 언론 종사자 노동 강도의 심화
④ 권력과 자본의 개입 심화
⑤ 기타( )
⑥ 모르겠다
16) KBS수신료 인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찬성한다 ② 다소 찬성한다 ③ 다소 반대한다
④ 매우 반대한다 ⑤ 모르겠다
17) 민주당 KBS수신료대책회의 도청 의혹사건과 관련, KBS측의 해명을 신뢰하십니까?
① 매우 신뢰한다 ② 조금 신뢰한다
③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④ 매우 신뢰하지 않는다
⑤ 모르겠다
18) 민주당 KBS수신료대책회의 도청 의혹사건을 어떻게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KBS가 진실을 밝혀야 한다.
② 경찰조사 등을 통해 밝혀야 한다.
③ 기타( )
④ 모르겠다
19) 기자라는 직업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① 매우 만족한다
② 다소 만족하는 편이다
③ 다소 불만족한 편이다
④ 매우 불만족스럽다
⑤ 모르겠다
20) 이직을 고려한 적이 있습니까?
① 자주 있다 ② 가끔 있다 ③ 별로 없다
④ 전혀 없다 ⑤ 모르겠다
21) 현재 급여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① 매우 만족한다 ② 다소 만족하는 편이다
③ 다소 불만족한 편이다 ④ 매우 불만족스럽다
⑤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