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국회는 언론 정상화에 나서라

[우리의 주장] 편집위원회

4·11 총선이 끝났다.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획득해 압승했다. 결과를 두고 여야의 분위기는 엇갈리고 있다. 연말 대선을 전망하는 언론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졌다.

다음 달 말이면 19대 국회의원들의 임기가 시작된다. 당장 18대 임시국회 마지막 일정도 남았다. 해결해야 할 현안이 산더미다.

언론계의 상황은 매우 엄중하다. 사상 유례없는 언론사 동시 파업이 벌어지고 있다. MBC 파업은 끝이 보이지 않는다. 구성원들 사이에서는 연말까지 간다는 각오도 나온다. KBS 파업 역시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민간인 사찰 문제로 번진 YTN과 사장 연임 문제를 놓고 대립 중인 연합뉴스의 파업, 언론 사유화에 맞선 국민일보와 부산일보 문제 역시 벼랑 끝에 섰다.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일부 기자들은 생계를 잇기 위해 거리로 나섰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들려온다. 펜을 놓고 떡 배달에 편의점 아르바이트까지 하면서도 굽히지 않는 바는 무엇이겠는가. 언론 현장에서는 지금이 80년대 군부독재 시절과 다르지 않다는 한탄이 나오고 있다.

유권자의 소중한 선택을 받은 19대 의원들은 현 언론 상황을 간과해선 안된다. 과반을 넘긴 새누리당은 선거운동 기간 언론계 현안에 대해 그 어떤 공식 입장도 내놓지 않았다. 일부 의원들만이 자신의 소신을 밝혔을 뿐이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계속 입을 다물고 있다.

언론장악 국정조사를 호언했던 야당 의원들도 마찬가지다. 약속을 한시라도 잊어서는 안된다. 어정쩡한 대처로 단지 선거 기간 ‘립서비스’였다는 평가를 받는다면 12월에는 더 큰 시련을 맞이할지도 모른다.

우리가 19대 국회에 앞서 바라는 것은 두 가지다. 먼저 현 정권의 언론장악 시나리오를 적극적으로 파헤쳐야 한다. 여야를 막론하고 국정조사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민주주의의 기초인 언론의 정상화를 위해 외면할 수 없는 문제다. 무엇 때문에 이런 상황에 이르렀는지, 왜 언론 노동자들이 거리로 나왔는지 책임감을 갖고 대응해야 한다. “파업은 사내 문제”라며 안이하게 받아들인다면 큰 오산이다. 파업 언론 노동자들은 더 심각한 파국을 자제하면서 언론 민주화와 공정방송을 이룰 수 있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두 번째로 언론 사찰에 대한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 군부독재 시절에서나 봤을 법한 민간인 사찰은 역사의 발전을 되돌리는 행위다. 특히 언론에 대한 사찰은 국민들의 눈과 귀를 틀어막겠다는 의도다. 민주주의의 상징인 의회정치를 움직이는 의원들의 존재 가치를 생각해본다면 절대 손 놓고 볼 수 없는 일이다.

국회의원들은 임기가 시작될 때 선서를 한다. 국회의원의 직무를 양심에 따라 성실히 수행할 것을 국민 앞에 엄숙히 약속한다. 우리는 19대 임기가 시작되면 더 크게 눈을 뜨고 지켜볼 것이다. 의원들이 스스로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는 양심적인 의정활동으로 제대로 된 민주주의를 이룩할 것인지 감시할 것이다. 현 정권 들어 빚어진 언론계의 위기에 심각성을 깨닫지 못한다면 역사상 가장 무책임한 국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길 바란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