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방송 보급률 99%의 진실은?

"반쪽짜리 디지털 전환" 지적…'사각지대 최소화' 시급


   
 
  ▲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31일 새벽 4시를 기해 막을 내린다. 사진은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지난해 지상파 디지털 전환 캠페인을 벌이던 모습. (뉴시스)  
 
오는 31일 새벽 4시를 기해 지상파 아날로그TV 방송이 종료되고 디지털 방송이 전면 시행된다. 31일 서울과 수도권을 끝으로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면 전국이 본격적인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대로 접어드는 것이다.

이번 디지털 전환은 지상파 방송, 즉 KBS, MBC, SBS, EBS와 지역 민방만 해당되는 사항이다. 디지털 전환을 이유로 일부 유료방송 사업자들이 아날로그 상품 가입자들에게 디지털 상품 가입을 독촉하기도 하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여부에 관계없이 케이블TV, 위성방송, IPTV 등 유료방송 가입자라면 지상파 방송을 그대로 시청할 수 있다. SO 사업자들이 지상파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 전달해주기 때문이다.

방통위에 따르면 전국의 디지털 방송 보급률은 99.3%(12월3일 기준)다. 그러나 여기에 맹점이 있다. 방통위가 밝힌 디지털 방송 보급률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기 보급률’로, 아날로그 케이블TV 가입 가구까지 포함된 수치다. 실제 디지털 전환 비율과는 차이가 있는 셈이다.

통계에 의하면 10가구 중 9가구 이상이 유료방송에 가입해 있다. 올 6월 기준,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의 54.8%가 디지털 유료방송을 이용하고 있으며 약 1100만 명은 아날로그 유료방송 가입자다. 방통위에 따르면 이 중 42.7%가 디지털TV로 고화질 지상파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 나머지는 디지털 전환이 완료돼도 고화질이 아닌 표준화질(SD)로 지상파 방송을 봐야 한다. 그런데 방통위는 이들까지 ‘디지털 방송 시청 가능 가구’로 묶어 디지털 방송 보급률을 99.3%까지 높였다. 실적을 부풀리기 위한 방통위의 꼼수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유료방송 업계를 중심으로 ‘반쪽짜리 디지털 전환’이라는 비판 여론도 높다. 아날로그 케이블TV 가입자들에 대한 디지털 전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방통위는 지난 10월 ‘유료방송 디지털전환 활성화 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사업자 간 경쟁 활성화를 통한 유료방송 디지털 전환의 원칙을 밝혔다. 방통위 김용수 방송진흥기획관은 “유료방송의 디지털 전환은 시장 자율로 추진하는 것을 원칙으로, 사업자간 경쟁이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 조성, 저소득층의 디지털 전환 지원, 시청권 보호 등에 정책의 주안점을 두었다”고 밝혔다.

당장 시급한 것은 ‘디지털 사각지대’의 최소화다. 방통위는 지난해 11월부터 디지털 전환 지원에 나서 저소득층 12만 가구에 디지털TV 구입비용(10만원)이나 디지털 컨버터를 무상 제공하고, 28만 일반 가구에 디지털 컨버터 비용 일부를 지원했다. 그러나 아날로그 방송 종료 이후 전국 5만 가구 정도가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방통위 관계자는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된 뒤에도 3개월까지 정부 지원 신청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