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대선 여론조작 사건
제269회 이달의 기자상 취재보도 / 한겨레 정환봉 기자
한겨레 정환봉 기자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13.03.13 12:49:39
|
 |
|
|
|
▲ 한겨레 정환봉 기자 |
|
|
국정원 직원의 대선 여론 개입 의혹 사건은 유독 조용했다. 경찰은 대선 투표일 직전인 지난해 12월16일 밤 11시에 긴급하게 보도 자료를 내고 “국정원 직원 김아무개씨가 댓글을 쓴 흔적을 찾을 수 없다”고 발표했다.
이례적으로 밤늦은 시각에, 그것도 대선 3차 토론이 끝난 직후에 중간수사결과를 발표한 것에 대해 경찰은 “국민적 관심사이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댔다. 하지만 그날 이후 경찰은 이번 사건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최대한 피해왔다.
다른 주요 사건과 달리 수사와 관련해선 말 한마디도 흘러나오지 않았다. 수사가 진전돼도 발표는 없었다. 지난해 12월16일 보도자료 배포, 17일 브리핑을 빼고 경찰의 공식 수사 발표는 1월3일 단 한차례에 불과했다. 그마저도 김씨의 혐의를 밝히기보다 혐의를 감추는 것에 급급한 모습이었다.
지난 1월31일 한겨레 보도로 김씨가 정치적으로 편향된 글을 91개 작성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그때야 경찰은 해명성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그리고 다시 입을 닫았다.
1년이 갓 넘는 짧은 기간, 경찰 출입 기자로 지내면서 존경할만한 형사와 수사관을 많이 만났다. 하지만 국정원 사건에서 경찰은 무명의 일선 경찰들이 수십 년간 쌓아온 공든 탑을 허물었다. 이번 사건의 최고 수사책임자인 김용판 서울지방경찰청장은 주취 폭력을 근절한다며 일선 경찰서에 ‘주폭팀’까지 신설해 대대적인 수사를 벌였다. 심지어 주폭 100명을 구속했다는 보도 자료까지 냈다. 구속된 사람은 대부분 무직이나 일용직이었다. 경찰은 그들에 대한 수사에는 어떤 인정도 두지 않았다.
하지만 국정원이라는 권력기관이 개입된 이번 사건에서 경찰의 모습은 달랐다. 마치 변호사와 같았다. 경찰이 민중의 지팡이가 될 것인지, 권력의 변호사가 될 것인지는 최종 수사결과 발표에서 결정 날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