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된 수순, 법정에서 진실 가릴 것"

국민노조 경영진 퇴진·사과문 발표 요구

"기소는 어차피 정해진 수순이었다. 상황이 달라진 것은 없다.”

사주가 구속된 동아일보, 조선일보의 전반적인 반응이다. 4일 검찰이 김병관 전 동아일보 명예회장,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 조희준 전 국민일보 회장 등 언론사주 3명을 비롯한 13명을 기소한 것과 관련 언론사들은 공식 입장 표명을 자제하면서 ‘법정에서 진실을 가릴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더러 ‘끼워넣기 식’ 조치라는 불만을 제기한 곳도 있었다.

유일하게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한 곳은 국민일보 노조(위원장 박정태)였다. 노조는 4일 성명에서 과거 청산이 재도약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하며 경영진 문책을 요구했다. 노조는 “조희준 사장 시절인 99~2000년, 국민일보판매(주) 대표이사를 지낸 노승숙 현 국민일보 사장은 조씨의 비리를 묵인한 데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하라”고 밝혔다. 노조는 또 ▷조 전 회장은 잘못을 속죄한다는 차원에서 국민일보에 영향력 행사를 중단하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날 것 ▷국민일보는 독자와 교계에 용서를 구하는 사과문을 게재할 것을 촉구했다.

사주 구속 직후 노보를 통해 입장을 발표했던 동아일보, 조선일보 노조는 추가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동아일보측은 “이미 예견된 상황이었다. 이제 법정에서 혐의내용이 확대 포장된 부분을 바로 잡겠다”고 밝혔다. 조선일보의 한 관계자도 “상황이 달라진 게 없는 만큼 추가 입장을 밝힐 필요도 없다”면서 혐의 내용과 관련 “특히 횡령 혐의에 대해 개인적인 용도로 유용한 점이 없음을 증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일보측도 “기소는 절차상의 문제로 정해진 수순에 따른 것일 뿐”이라며 “재판과정에서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한국일보나 대한매일은 다소 무관심하거나 기소내용에 불만을 토로하는 표정이다.

한국일보의 한 기자는 “장재근 전 사장에게 횡령 혐의가 추가된 것은 내부에서도 잘 몰랐다”면서 “사실 파업 등 회사 현안이 부각돼 기소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반면 대한매일의 한 기자는 “국세청 고발장에는 수십억원대의 탈세액이 나왔지만 이번에 법인 관련 혐의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검찰의 공소장을 살펴보면 결과적으로 국세청이 대한매일을 고발한 것은 끼워넣기 식임이 드러났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