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공제회 상품은…사고·질병 보장에 상조서비스 제공

본인 사망시 최대 1억원·암 진단비 1000만원
비취재부서 직원도 가능…12월부터 가입 받아

“인원도 줄고 근무 환경이 예전과 같지 않죠. 병이나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게 요즘 기자들이고요. 보험공제는 적절한 구제책이 없던 기자들에게 단비와 같은 소식입니다.” 국제신문 오상준 기자는 언론인공제회가 제시한 공제상품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언론인공제회의 주력상품은 보험공제다. 언론인이 취재 과정에서 갑작스러운 사고를 당하거나 질병을 입었을 때 경제적 보장을 지원하는 제도다. 이 상품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단체상해보험과 비교해 최대 30% 저렴하면서 폭넓은 혜택을 제공한다.

보험공제는 크게 기본형과 선택 1·2형, 종합형 등 4가지로 세분화됐다. 회사 차원에서 단체상해보험에 가입한 언론사 직원들과 개인적으로 실손의료보험에 들어있는 언론인들도 가입이 가능하도록 초점을 맞췄다.

먼저 기본형은 질병 및 상해로 인한 사망 및 후유장해가 발생하면 최고 1억원의 보험료를 지급한다. 회원 본인뿐만 아니라 배우자와 자녀 1명(각 3000만원)까지 대상이다. 1년 보험료는 35세 기준으로 5만3000원(월 4400원)으로 저렴하다.

선택형은 기본형에 입원 치료비를 더한 선택1형, 기본형에 암진단비 등을 더한 선택2형으로 나뉜다.
선택1형은 기본형을 보장하면서 회원이 병에 걸리거나 다쳐서 입원 치료를 받을 때 최대 1000만원을 지급한다. 또 입원비는 하루 10만원씩 최대 6개월을 보장한다. 실손의료보험에 가입한 회원의 경우 입원 치료비(최대 1000만원)는 중복 보장이 안된다. 1년 보험료는 35세 기준으로 11만2000원(월 9300원)이다.
선택2형은 기본형을 보장하면서 암진단비의 경우 최대 1000만원, 뇌졸중과 뇌출혈 때 최대 1000만원을 지급한다. 1년 보험료는 35세 기준으로 6만5000원(월 5400원)이다.



   
 
   
 
종합형은 기본형에 선택1형과 선택2형을 합한 상품이다. 질병 및 상해사망 1억원, 암진단비, 뇌졸중과 뇌출혈 진단비, 입원치료비 각각 최대 1000만원, 입원 일당 하루 10만원 등을 모두 보장받는다. 1년 보험료는 30세 10만2000원(월 8500원), 35세 12만4000원(월 1만원), 40세 16만9000원(월 1만4000원), 45세 25만6000원(월 2만1000원), 50세 42만2000원(월 3만5000원) 등이다.

언론인공제회의 보험상품은 국내 유수의 대기업 보험사들이 특별 판매하는 상품으로 몇몇 보험사와 세부 조건을 놓고 조율 중이다. 교섭 과정에서 보험료는 소폭으로 오르거나 내릴 수 있다.

언론인공제회는 복지서비스의 일환으로 국내 유명 상조회사와 제휴해 상조서비스를 시작할 방침이다. 납입금 전액 안전 보장, 출자금 규모, 최근 3년간 소비자 불만건수 등을 고려해 믿고 맡길 수 있는 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언론인복지카드, 의료기관 및 건강검진 지정 할인, 휴양시설, 여행, 외국어교육 등 다양한 복지혜택을 제공하고 언론발전을 위한 연구 및 출판 등 공익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언론인공제회는 회원 가입의 문을 최대한 넓혔다. 한국기자협회 회원과 기자협회 소속사에 근무하는 임직원이면 가입이 가능하다. 기자 이외에 경영, 광고 등 비취재부서도 포함된다. 한국기자협회 회원이 아닌 언론계 종사자와 프리랜서 등은 이사회 승인을 거치면 가입이 가능하다. 회원 가입은 12월부터 시작된다.

보험공제와 상조서비스는 언론인공제회의 궁극적 목표인 연금공제로 나아가기 위한 전 단계다. 이철휘 이사장이 취임사를 통해 언론인공제회의 최종적 목표가 언론인연금이라고 밝힌 것도 이런 이유다. 이 이사장은 “정부 지원 등을 통해 언론인연금 체계를 최대한 빨리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이사장이 밝힌 언론인연금은 1000억~2000억원 규모의 언론인발전장려기금을 운용, 그 수익을 연금에 가입한 언론인에게 추가로 지급하는 방안이다. 이를 위해 ‘언론인공제회법’ 제정을 추진한다.

언론인공제회법에는 공제회 보호·육성을 위해 정부가 공적자금을 출연하는 조항이 들어간다. 특히 공제 회원이 퇴직해 언론인연금을 받게 되는 경우 본인 부담금 외에 별도로 언론인발전장려기금을 지급하는 조항을 명시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인공제회와 한국사회복지공제회는 공무원이 아닌 민간 전문직 공제회에 정부 공적자금이 투입된 사례다. 과학기술인공제회는 출범 이듬해인 2004년 200억원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모두 1000억원의 정부 출연금을 받았고, 보건복지부는 사회복지사들이 한국사회복지공제회 단체상해보험에 가입하면 보험료 50%를 지원했다.

송광석 이사(경인일보 사장)는 “국회를 상대로 한 입법 청원에 언론계가 한뜻을 이뤄야 한다”고 했고, 김중석 이사(강원도민일보 사장)는 “기금을 조성하려면 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언론계가 합심해 언론인공제회법 제정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후·김희영 기자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