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해직 6년째…모르쇠 정부·눈치보는 경영진

불공정·편파보도 여전…대법원 판결 3년째 계류


   
 
  ▲ YTN 해직기자 6명이 2009년 11월13일 서울중앙지법에서 ‘해고 무효’ 판결을 받은 직후 법원 청사를 나서는 모습. 왼쪽부터 권석재, 우장균, 노종면, 정유신, 현덕수, 조승호 기자. (경향신문 제공)  
 
이명박 정권의 언론장악에 맞서 공정방송 사수 투쟁을 벌이다 부당하게 해고된 YTN 기자들이 오는 28일 해직 2000일을 맞는다. 5년 5개월. 그 사이 정권이 바뀌고 불에 타 무너졌던 숭례문도 복원됐지만, 해직기자들은 여전히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내년 3월이면 YTN은 개국 20주년을 맞는다. 6명의 해직기자들이 보낸 시간은 YTN 역사의 3분의1 가까이를 차지한다. 이들의 해직 2000일은 이명박 정권에서 시작된 언론장악 사태 2000일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2009년 11월 1심 재판부가 6명 전원에 대해 해고 무효 판결을 내린지 꼬박 4년 4개월이 지났다. 2011년 4월 2심에서 6명 중 3명에 대한 해고는 정당한 것으로 판결이 뒤집힌 이후 제기된 항소심은 대법원에서 만 3년 가까이 계류 중이다. 대법원 관계자는 “길게는 6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법원은 정권의 눈치를 살피는 모양새다. YTN 해직 사태가 이명박 정권의 언론장악과 낙하산 사장 임명에서 촉발된 만큼, 정권 차원에서 해결할 문제라는 게 언론계 안팎의 중론이기도 하다. 그러나 정작 정권 차원에선 어떤 해법 제시도 없다. 국제기자연맹(IFJ)이 해직기자의 복직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한국기자협회 회원 수천 명이 복직 탄원서를 제출해도 꿈쩍도 않는다. “노사가 해결할 문제”라는 게 정부여당의 일관된 입장이다.

노사 협상의 키를 쥔 배석규 YTN 사장의 태도 역시 한결같다. 배 사장은 지난해 “해직자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에 나설 용의가 있다”면서도 해직사태 장기화의 책임을 노조 탓으로 돌리며 먼저 사과를 요구했다. 올 초 신년사에서도 해직사태 문제 해결을 언급하긴 했지만, 전향적인 자세를 기대하긴 힘든 상태다. 오히려 불공정 편파보도 사례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탓에 YTN의 공정방송 투쟁은 7년째 ‘진행형’이다.



   
 
   
 
이런 가운데 YTN은 남대문 생활을 마감하고 다음 달 상암동 신사옥에 입주한다. 해직 2000일째가 되는 28일은 YTN노조가 남대문 사옥에서 보내는 마지막 밤이기도 하다. 해직사태를 풀지 못한 채 상암동 시대 개막을 앞둔 YTN 구성원들의 심경은 착잡하다. 노조는 “‘마치 외지에 나가 있는 가족을 놔두고 이사 가는 심정’이라는 한 조합원의 말처럼 상암동에서의 새 출발을 앞둔 우리의 발길이 가벼울 수 없는 현실”이라고 밝혔다.

YTN노조는 새 출발을 다짐하는 차원에서 28일 남대문 사옥에서 해직기자들과 함께 하는 ‘버티GO’ 행사를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선 해직 2000일을 돌아보는 영상과 해직기자들에게 보내는 응원의 메시지 영상 등이 상영된다. 권석재, 노종면, 우장균, 정유신, 조승호, 현덕수 등 해직기자 6명이 모두 참석할 예정이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