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방송'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우리의 주장] 편집위원회
편집위원회 jak@journalist.or.kr | 입력
2014.04.09 14:46:36
‘뉴스타파’에 이어 ‘국민TV’가 개국하면서 이른바 ‘대안방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00년대 인터넷신문이 등장했고, 얼마 전부터는 인터넷 라디오라고 할 수 있는 ‘팟캐스트’ 방송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리고 그 흐름이 TV뉴스로 확장되고 있는 양상이다.
우선 이런 흐름의 배경을 짚어볼 필요가 있다. 첫째, 미디어 플랫폼의 진화다. 유선 인터넷망 보급이 활자 매체의 대체를 가져왔듯이 휴대통신기기(모바일)와 무선 통신망의 발전은 전통적인 TV의 영역까지 허물고 있다. 드라마나 프로야구 중계도 스마트폰으로 보는 시대다. 통신사들은 속도 향상은 물론 데이터 무제한 상품을 내놓고 있기에 이런 흐름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TV뉴스 역시 더는 지상파와 유선방송의 전유물이 아니다.
둘째, 뉴스타파와 국민TV는 이명박 정권의 산물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이명박 정권 출범 직후 공영방송과 YTN 등에 낙하산 사장 논란이 벌어졌고, 파업 결과 상당수 언론인이 해직됐다. 이들이 주축이 돼 뉴스타파와 국민TV를 출범시켰다. 더불어 이명박 정권의 ‘미디어법’ 강행 처리로 생긴 ‘종편’도 편파 방송 논란을 불러오며 대안방송의 필요성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 외에도 대안방송의 출범 자체가 갖는 의미도 상당하다. 이들이 정치와 자본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모델을 택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민주화 이후 언론의 정치권력 예속 현상은 완화됐지만, 이명박 정권 이후에는 방송이 정치권력에 의해 휘둘리는 모습이 종종 목격된다. 국경없는 기자회가 평가하는 한국의 언론자유지수가 매년 하락하고 있다. 미디어 업계의 수익 악화에 따른 자본권력 눈치보기도 점점 심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비영리 독립언론을 표방한 뉴스타파나 협동조합 모델을 채택한 국민TV의 실험은 언론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뉴스타파는 후원회원이 3만2000명, 국민TV 조합원은 2만3000명이다. 이들은 아무런 대가 없이 공정보도를 위해 지갑을 열고 있다. 결코 적지 않은 숫자다.
다만 대안방송이 실험으로만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인터넷 미디어 환경은 몇몇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형성돼 있다. 인터넷과 모바일에서의 TV뉴스 시청 환경이 좋아졌다고 하지만 기존 방송과 달리 시청자들은 찾아봐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인터넷과 모바일 이용자가 40대 이하 젊은층이 절대 다수라는 점도 고민해야 할 대목이다. 포털과의 관계에 대한 고민은 물론 포털에 의존하지 않고도 플랫폼을 확장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안정적인 운영도 과제다. TV뉴스는 상당한 비용이 투입되는 고비용 미디어다. 어엿한 보도매체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정치와 자본권력으로부터의 자유로운 보도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영 안정화 방안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이 모든 과제는 콘텐츠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질 좋은 보도를 내보내면 후원회원과 조합원이 늘어나 경영이 안정되고 더 많은 투자도 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플랫폼이 확장되는 결과도 가져올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국민TV의 조선일보 관련 오보 사건은 유감이다. 조급함이 낳은 결과가 아닐까 한다.
끝으로 대안방송이라는 틀에 자기 스스로를 가둬서도 안 된다고 주문하고 싶다. 한국 언론계는 진영 논리에 갇혀 허우적대고 있다. 대안방송의 본령은 편향에 맞선 반편향이 아니라 공정보도와 진실보도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