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세월호 부정확한 보도 반성

'국가 개조 프로젝트 검증 보고서' 보도 약속

중앙일보는 16일 ‘세월호 참사’ 한 달을 맞아, 세월호 사고와 관련된 자사 보도에 대해 통렬히 반성했다.

특히 중앙은 세월호 참사 1주기가 되는 내년 4월 16일, 이번 참사와 같이 사고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재난 안전 체계를 치밀하게 점검한 뒤 ‘국가 개조 프로젝트 검증 보고서’를 내놓겠다고 독자들에게 약속했다.

중앙은 이날 2면 전면을 할애해 게재한 사과문(‘세월호 부정확한 보도 사과드립니다’)을 통해 “세월호 참사 현장을 보도하면서 잘못된 보도로 혼선과 고통을 드린 적은 없는지 반성해봅니다”라며 “한 달 동안 중앙일보 지면에 실린 세월호 사고 관련 보도를 다시 한번 검토했습니다”라고 밝혔다.



   
 
  ▲ 중앙일보가 16일 ‘세월호 참사’ 한 달을 맞아 자사 보도를 반성하는 사과문을 게재했다.  
 
이어 “그 결과 본지의 부정확한 보도로 희생자 가족들과 독자 여러분께 혼선을 드린 적이 적지 않았다는 불편한 진실을 마주하게 됐습니다”라며 “정확한 보도를 생명처럼 여겨야 할 언론으로서 수치스럽고 송구한 마음을 감출 수 없습니다”라고 반성했다.

중앙은 “특히 사고 초기에 세월호 탑승자 수와 실종·구조자 수를 정확하게 보도하지 못했던 것은 어떤 변명도 통하지 않을 명백한 오보”라며 “사고 초기 오락가락 했던 정부의 발표를 그대로 기사로 옮겼기 때문에 벌어진 일들입니다. 그러나 정부의 공식 발표라 하더라도 이를 재차 확인하고 신중하게 보도했어야 했습니다”라고 자성했다.

또 구조작업 현황과 관련된 기사에서 동원 가능한 자원과 실제 구조작업에 투입된 자원 등을 잘못 보도한 점을 비롯해 ‘세월호 1인당 3억5000만원 배상보험’(4월 17일자 8면) 등 부적절한 기사를 보도한 점, 취재원 프라이버시 보호를 소홀해 세월호에서 구조된 5살 권모양의 사진을 실은 점 등을 반성했다.

중앙은 “삼풍백화점·성수대교 붕괴, 서해훼리호 침몰 등 대형 사고가 터질 때마다 언론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재발 방지책을 제안합니다. 그러나 그때만 요란했을 뿐 사후 검증은 거의 없었습니다”라며 “1993년 서해훼리호 침몰사고 때 중앙일보는 여객선의 과적 등을 지적했습니다. 그 후에도 집요하게 선박의 안전 문제를 파고들었다면 세월호 참사는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라고 밝혔다.

중앙은 특히 “앞으로 흥미보다는 이번에 제기했던 문제들을 집요하게 추적하겠습니다. 그래서 세월호 참사 1년 뒤인 2015년 4월 16일 달라진 재난 안전 체계를 치밀하게 검증하고 고발하겠습니다”며 “철저한 현장 취재와 악착같은 기자 근성으로 ‘국가 개조 프로젝트 검증 보고서’를 1년 뒤 독자 여러분께 내놓으려 합니다”라고 약속했다.

이어 “안전 문제는 물론 참혹한 재난의 원인으로 지적됐던 모든 구조적 문제를 샅샅이 파헤치겠습니다. 그것만이 진도 앞바다에서 억울하게 숨진 영령들을 위로하고 더 이상의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하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사과문은 중앙일보 편집국 기자 전체 이름으로 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