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인사 실패 원인은 박 대통령 자신"
조중동, 사설 통해 '인사 참사' 비판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 | 입력
2014.07.02 14:35:17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가 1일자 사설을 통해 연이은 국무총리 후보자의 낙마와 정홍원 총리 유임 등으로 빚어진 박근혜 정부의 ‘인사 참사’에 대해 강도 높게 비난했다.
동아는 이날 사설 ‘박 대통령의 인사실패 해명에 ‘내 탓’이 없다’에서 “국정의 한 축인 야당과도 소통하고 광폭의 인사를 해야 지금 같은 인사 실패를 또 반복하지 않는다”며 “대통령은 ‘벙커’에서 나와 국민을 안심시켜야 한다는 고언에 적잖은 국민이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선은 국회 인사청문회 방식에도 문제가 있지만, ‘수첩 인사’에 더 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선은 이날 사설 ‘대통령의 ‘총리 유임’해명, 이 정도로 충분하겠나’를 통해 “이제 새 인사시스템을 작동하려면 대통령이 먼저 달라져야 하고, 김기춘 비서실장을 비롯한 핵심 측근들의 보좌 방식이 변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중앙은 ‘문창극 파동’의 심각성과 인사 난맥에 비춰 대통령의 설명은 형식과 내용면에서 모두 미진했다고 힐난했다.
중앙은 이날 사설 ‘기자회견을 두려워하는 대통령’에서 “대통령은 수석회의를 빌려 해명하곤 하는데 이는 적절하지 못하다”며 “수석회의는 국민 상대 설명회가 아니라 청와대 내부회의”라고 지적했다.
이처럼 보수신문들이 한 목소리로 박 대통령의 인사정책에 대해 비난한 것은 박 대통령이 전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총리 유임배경에 대한 해명이 부족했을 뿐 아니라 이번 ‘인사 참사’에 대한 대국민 사과나 유감 표명이 없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박 대통령은 인적쇄신을 통해 국정 혁신을 약속했으나 ‘대한민국 국가개조의 적임자’라며 내정했던 안대희·문창극 후보자가 줄줄이 낙마했고, 그 책임을 인사청문회 방식이나 언론 탓으로 돌렸다.
한 보수신문 고위간부는 “집권 초기와 달리 박 대통령의 굳건했던 지지층마저 이탈하고 있다”며 “지지층의 이탈 원인은 인사와 소통 방식에 대한 실망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