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세월호 국정조사 거부 "오만·초법적"
국조특위에 하루 전 불출석 통보
김고은 기자 nowar@journalist.or.kr | 입력
2014.07.07 11:18:07
|
 |
|
|
|
▲ 허원재 방통위 부위원장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 침몰사고의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기관보고를 마친 후 고개숙여 인사하고 있다. (뉴스1) |
|
|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한 오보와 부적절한 보도 등으로 물의를 일으켰던 MBC가 언론 자유 침해를 이유로 세월호 국정조사 참석을 거부해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MBC는 세월호 침몰사고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기관보고를 하루 앞둔 지난 6일, 돌연 언론 자유 침해와 보도의 공정성·객관성 저해를 이유로 특위 불출석을 통보했다. MBC는 지난 5월29일 국회에서 방송통신위원회, KBS와 함께 세월호 국정조사 특위 기관보고 대상자로 선정된 바 있다.
그런데 MBC는 6일 오후 세월호 국조 특위에 보낸 사유서를 통해 “국정조사에 출석해 개별적 보도내용의 작성경위나 보도사안에 대한 경중의 판단, 편집과정을 진술하고 공방에 휘말리는 것은 언론자유가 침해될 우려가 있고 보도의 공정성과 객관성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을 심각하게 우려할 수밖에 없다”며 불출석을 통보했다.
MBC는 “‘전원 구조’ 오보의 문제는 있었지만, 이후 보도 내용에 유의하면서 지적될 만한 오보는 사실상 한 건도 없었다”며 “일부 방송들이 가짜 민간 잠수사를 출연시켜 거짓 증언을 하게 하거나, 다이빙벨이 최고의 구조장비라고 부추겨 수색에 방해를 줬던 것과는 달리 MBC는 사실을 보도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또한 “다른 매체들이 실종자 가족들의 고통스런 모습을 상업적 보도 대상으로 여기고 구조된 학생에게 사망자 친구의 소식을 전하는 그릇된 취재 방식을 택할 때도 MBC는 사고 관련자의 인권과 사생활 보호를 가장 염두에 뒀다”면서 “여타 언론사에 비해 MBC의 세월호 재난보도가 오보가 많거나 문제가 많은 것도 아닐진대 굳이 MBC를 KBS와 함께 국정조사의 기타기관으로 선정한 것은 쉽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세월호 국조 특위 야당 의원들은 이날 밤 긴급 성명을 내고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가 법에 따라 결정한 국정조사를 거부하는 MBC의 행태는 왜곡보도와 오보에 대한 책임 회피”라고 비판하며 “오만하고 초법적이고 무책임한 국정조사 거부 행태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성토했다.
이들은 특히 MBC가 세월호 국조 특위 조사대상기관으로 선정된 지 한 달이 넘도록 단 한 번의 문제제기도 없었고 지난 4일까지만 해도 특위 전체 위원실에 사장 명의의 인사말씀과 기관보고 자료까지 제출하며 성실히 조사에 임하겠다고 약속해놓고 금세 말을 바꾸었다고 비판했다.
7일 열린 특위에서도 야당 측 간사인 김현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5월29일부터 한 달 넘게 언론 자유를 침해하는 사건이 아니었다가, 어제 오후 갑자기 국회에서 의결한 국정조사가 언론 자유를 침해하는 일이 됐다는 것인가”라며 “MBC가 이제라도 국정조사장에 출석할 것을 위원회 이름으로 지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심재철 특위 위원장도 “MBC가 출석하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이라며 “속히 출석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세월호 참사 가족 대책위원회도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MBC 불출석 통보를 강하게 비판했다. 가족대책위는 이날 세월호 참사 진실 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통과를 촉구하는 자리에서 “언론은 사건 초기부터 희생자들과 가족을 모욕하고 기만했다. 우리는 언론의 오보가 신속한 구조를 방해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그런데 MBC가 불출석 통보를 버젓이 했다”면서 “이런 일을 막기 위해서도 제대로 된 특별법만이 세월호 참사의 처음과 끝을 맺을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