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해직기자 언론 현장으로 돌려보내라

[우리의 주장] 편집위원회

다음 달부터 부산 일부 지역에 바닷물로 만든 수돗물이 공급된다고 한다. 설비를 만든 업체는 대단한 기술이라고 자부심을 갖겠지만 조상 대대로 마셔오던 강물 대신 바닷물을 마셔야하는 주민들은 반갑지만은 않을 것이다. 아무리 정수를 한들 원래 짠물인 바닷물이 강물만 하겠는가. 왜 바닷물을 마셔야만 하는지 보도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강물이 ‘멀쩡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식수난과 가뭄, 홍수를 막겠다며 수 십 조원을 멀쩡한 강에 쏟아 부은 결과 이제 바닷물을 마셔야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YTN을 통해 이 뉴스를 지켜보면서 떠오른 기자들이 있다. 노종면, 권석재, 우장균, 정유신, 조승호, 현덕수. 오랫동안 볼 수 없었던 YTN의 진짜 기자 여섯 명이다. 


이들이 2008년 이명박 대선캠프 언론특보 출신 사장의 낙하산 취임을 반대하며 공정보도를 위해 파업하다 해직된 지 벌써 6년이 넘었다. 어리숙한 중학생이 의젓한 대학생이 될 긴 시간 동안 이들은 해고자로 남아 직장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YTN의 대량해고 사태는 MBC에 그대로 이어졌고, 방송 저널리즘의 총체적 후퇴를 초래했다. 


이명박 정부는 ‘언론자유’와 ‘공정보도’를 주장하는 언론인들을 대량 징계하고, 펜을 빼앗아 갔다. 권력에 대한 감시기능을 마비시킨 이명박 정부는 국정을 농단하고, 천문학적인 혈세를 사유화했다. 4대강 사업, 자원외교, 방위산업 등 이른바 ‘4자방’ 사업에만 100조원의 세금이 낭비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앞으로 엄청난 세금이 추가로 더 들어간다고 한다. 연 이자만 1조원이 넘는다는 분석도 있다. 아직 본격적인 조사나 감사가 실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드러난 규모가 이 정도이다. DJ정권을 흔들었던 ‘옷로비 사건’ 이나 노무현 정권에 제기됐던 ‘바다이야기 사건’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규모이다. 단군 이래 최악의 권력형 비리의혹 사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YTN의 해직기자들이 현업에 있었다면 이명박 정부가 국가재정을 대놓고 파탄 내는 동안 감시자로서 나름대로 역할을 해냈을 것이다. 뉴스 전문 채널의 특성상 이들의 보도는 지상파 방송과 신문에도 영향을 미쳐 정권의 폭주를 어느 정도 견제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랬다면 이명박 정부도 이렇게까지 실패한 정부가 되진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6년째 기자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으며 국민들은 이제 바닷물을 마셔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대법원이 27일 YTN 해직기자 6명의 해고무효소송에 대한 최종 선고를 한다. 2011년 2심 판결 이후 무려 1270여일이 지나서야 하는 판결이라고 한다. 대법원은 3년 반 동안 ‘판결하지 않는 판결’을 통해 이들을 해고상태로 유지시켰다. 최고 사법기관의 직무유기이다. 기자로서 최전성기를 판결만 기다리며 보내버린 시간을 무엇으로 보상할 것인가. ‘언론자유와 공정보도를 요구하는 기자들을 해고한 것이 옳은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변이 그렇게 오래 걸려야 할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언론의 가장 큰 기능은 권력에 대한 브레이크이다. 대법원이 머뭇거리는 사이 브레이크 없는 정권은 탐욕으로 질주했고, 나라 곳간은 텅 비어버렸다. 대법원은 그동안의 업무 태만을 판결로 사과해야 한다. 국민주권과 사회정의의 최종 수호자로서 대법원이 ‘언론자유’를 지켜야 할 헌법적 가치로 인정한다면 해직기자들을 언론현장으로 돌려보내주길 바란다. 대한민국 모든 기자들은 그들과 함께 일하고 싶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