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공산주의자" 발언 고영주 "지금 밝힐 상황 아냐"

"방문진 이사장 사퇴 주장 납득 못해"

고영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은 3일 '문재인은 공산주의자'라는 과거 발언이 논란을 빚고 있는 것과 관련해 “지금 생각은 밝힐 단계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고 이사장은 이날 기자협회보 통화에서  “그 당시엔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지금은 내가 (문재인이 공산주의자인지 여부에 대해) 밝힐 상황은 아닌 것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고 이사장은  이번 발언 파문으로 사퇴 여론이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내가 대한민국의 안전이나 발전,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안전에 무슨 장애가 되는 행위를 했다고 그러면 물러나야 될 거다. 그런데 내가 여태까지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한 일을 했고, 그게 편파적이라는 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며 “반 대한민국적인 생각을 해야 그게 올바른 생각이고 대한민국적인 생각을 하면 그건 편파적이다 그러면 그런 논리는 내가 납득을 할 수가 없다. 그런 논리 가지고는 나를 납득시킬 수가 없다”고 전했다.  

앞서 최민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날 오전 <고영주, “문재인은 공산주의자...대통령되면 적화됐을 것”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이런 사람을 방문진 이사장에 앉힌 이유가 뭔가?”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고영주 당시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 위원장은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된 후인 2013년 1월4일 ‘애국시민사회진영 신년하례회’에서 “문재인 후보는 공산주의자”라며 “이 사람이 대통령이 되면 우리나라가 적화되는 건 시간문제라고 확신하고 있었다”고 발언했다.

이날 공개된 동영상에서 고 이사장은 “(부림사건은)민주화 운동이 아닌 공산주의 운동이었다. 변호인이었던 노무현 대통령이나 문재인 후보나 부림사건이 공산주의 운동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을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노무현 정부 5년 내내 핍박을 받다가 더럽다고 하고 검사를 그만뒀다. 그때 청와대에 있으면서 나에게 비토권을 행사한 사람이 바로 문재인 후보, 당시 비서실장이었다”며 “그 사람은 내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려고 하는 것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고 덧붙였다.

최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숱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어이 고영주 씨를 방문진 이사장에 앉힌 이유가 바로 이 같은 고 이사장의 활약 때문이라는 것을 이제야 알겠다”며 “고영주 이사장이 극우모임인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야당 국회의원들을 ‘친북·반국가행위자’라며 인명사전을 만들어 단죄해야 한다고 앞장서 주장했던 사실에 이어, 문재인 후보에 대해 ‘대한민국을 적화시킬 공산주의자’라고 망언을 한 사실이 밝혀진 만큼 결단코 방문진 이사장에 앉아있을 수 없는 인물”이라고 사퇴를 촉구했다.  

최 의원은 부림사건에 대한 고 이사장의 발언에 대해 “당시 수사검사로서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고 싶은 욕심은 있겠지만, 이 같은 발언들은 그야말로 철면피한 발언이 아닐 수 없다”며 “부림사건이 조작된 사건이라는 것은 일부의 주장이 아니라 2014년 9월 대법원의 재심 확정판결로 공식화된 역사”라고 상기했다. 당시 재심을 맡은 부산지법은 “피고인들이 수사기관에 자백을 했으나 진술서가 결과된 뒤에 작성된 점, 불법구금 기간이 오래돼 증거능력이 없고 피고인들의 행위가 국가의 존립과 안전을 위협했다고 볼 수 없다”며 국가보안법과 계엄령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로 판결했다.

이날 통화에서 고 이사장은 부림사건에 대해 기존의 입장을 고수했다. 고 이사장은 “당시 대법원까지 가서 다 유죄판결이 확정된 거고 그 후에 한번 재심을 더 했다. 그때도 국가보안법은 유죄가 나왔던 것”이라며 “(영화) 변호인이 나온 후에 다시 한번 했는데 사회적인 분위기에 힘입어서 무죄를 받은 건데, 무죄 이유가 ‘공산주의가 아니었다’는 게 아니고 ‘구속기간이 장기화 돼서 진술의 신빙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무죄를 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판결이 뭐라고 났든 상관이 없는 게 내가 피의자한테서, 앞으로 공산주의 사회가 될 텐데 공산주의가 되면 자기네들이 나를 심판하겠다, 이런 얘길 내가 직접 들었기 때문에 판결이 이렇게 나왔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 압력이나 이런 걸로 내 기억을 바꿀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고 이사장은 “검사생활을 하면서 또 검사를 그만둔 후에라도 내가 한 일에 대해 떳떳하게 말할 수 있어야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서 “내가 검사생활 동안 한 일을 가지고 누가 뭐라 그래도 난 당당하게 얘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