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독재적 사고가 아니면 무엇인가”(한겨레 4일자 사설) “야당과 진보·좌파는 반(反)국정의 깃발 아래 똘똘 뭉쳤고…”(조선일보 4일자 사설)
지난달 12일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이 최종 확정된 이후 국정화 비밀 TF 의혹, 정부의 확정고시 발표, 집필진 비공개 방침 등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여론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만큼 언론사도 이를 바라보는 시각이 다소 엇갈리고 있는데, 특히 주장과 의견의 집합체인 사설에서는 견해가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기자협회보는 지난 2일부터 9일까지 7일간 언론사별로 국정화 관련 사설을 살펴봤다. 국정화 관련 사설은 일주일동안 한겨레에서 7개, 경향에서 5개, 동아·세계·한국에서 4개, 서울에서 3개, 국민·조선·중앙에서 2개가 보도됐다. 본보는 사설의 논지를 뒷받침하는 ‘키워드’를 추출해 해당 키워드가 국정화 찬반논리에 어떻게 쓰였는지 분석했다.
경향·한겨레 등 국정화에 반대하는 신문에서 가장 많이 쓰인 단어는 ‘독재’였다. ‘독재’는 한겨레에서 11회, 경향에서 8회로 많이 쓰였고 한국에서도 3회 쓰였다. ‘독재’는 ‘북한의 독재’를 서술하는 데도 쓰였지만 대부분 ‘친일·독재 미화 우려’의 맥락에서 서술됐다.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리는 모두 궤변에 불과하고 실제 목적은 친일·독재 미화에 있음이 확인됐다”고 비판한 한겨레 4일자 사설이 이를 잘 보여준다.
국정화 반대를 주장한 신문에서는 ‘민주(18회)’ ‘시민(16회)’ ‘보수(14회)’ ‘군사(11회)’ ‘주체사상(8회)’ ‘논란(6회)’ ‘거짓말(5회)’ 등의 단어도 많이 쓰였다. 특히 ‘시민’은 “확정고시 강행에 시민이 분노하고 있다”는 설명으로, ‘보수’는 “보수와 진보를 아울러 모두가 반대한다”는 논리로 언급됐다. ‘군사’는 “정부가 국정화 고시를 군사작전처럼 밀어붙였다”는 맥락과 “정부가 군사독재의 향수에 젖어 사리분별을 잃었다”는 대목에서 주로 쓰였다.
반면 국정화 찬성 논리에 주로 쓰인 단어는 ‘좌파’였다. ‘좌파’는 동아에서 4회, 조선에서 2회 언급됐다. ‘좌파’는 조선일보 4일자 사설처럼 “야당과 진보·좌파는 똘똘 뭉쳐 현행 검정 교과서들이 어디가 좌편향됐다는 것이냐며 큰소리치고 있다”고 서술하는 데 쓰였다. 좌파 때문에 재미있고 균형 잡힌 역사 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는 당초 목표가 실종됐다는 것이 국정화 찬성 논리의 하나였다.
국정화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신문에서는 ‘진영(6회)’ ‘공격(5회)’ ‘민주(5회)’ ‘다양성(5회)’ 등도 많이 언급됐다. ‘진영’은 “국정화 반대 진영에서 역사학계 원로들을 싸잡아 비난하고 압박하는 행태가 위험 수위로 치닫고 있다”는 데, ‘공격’은 “집필진에 대한 인신공격과 신상 털기가 달아오르고 있다”는 데 쓰였다. ‘민주’는 “대한민국은 산업화와 민주화에 성공한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나라”라며 패배주의로 가득한 현행 교과서로는 아이들을 가르칠 수 없다는 논리를 세우는 데 언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