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문제 하나도 해결되지 않아"

공병설 전 연합 노조위원장
보복성 징계로 지역주재 발령 25개월만에 본사로 돌아와
회사 정상화 꼭 필요하지만 특정 정권에 의지해선 안돼

2012년 공정보도 사수를 위해 103일간 파업을 이끌었던 연합뉴스 공병설 전 노조위원장(현 사회부 교육팀장)이 지난 5일, 25개월 만에 서울 본사발령을 받았다.


현 경영진의 ‘보복성 징계’ 탓에 충북 제천 주재 기자로 내려갔다 제 자리로 돌아온 것이다. 하지만 지난 25개월 간 비정상적으로 여겨졌던 상황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인터뷰를 고사하다 거듭된 요청에 응한 공 전 위원장은 “2015년 5월 제천으로 내려갔을 당시의 비정상적인 상황들이 하나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몸만 다시 원래 있던 자리로 돌아온 것 같아 기쁜 마음보다는 찜찜한 마음이 앞선다”고 밝혔다.


그는 파업을 이끌었다는 이유로 ‘정직 6개월’의 중징계를 받은 데 이어 보복성 징계까지 더해졌다. 보복성 인사를 앞두고 파업에 대한 반성 등을 표할 경우 지방발령을 철회할 수도 있다는 말이 공공연히 흘러 나왔지만 그는 흔들리지 않았다. 내부 구성원들의 동의를 구했던 ‘편집총국장제’를 놓고 사측은 경영권과 인사권을 침해하는 요인이라며 압박했던 때였다.


그는 “당시 지방발령을 막기 위해 일부 선후배 동료 중에도 회사랑 협상을 해보자는 의견이 나왔지만 우리가 소중하게 여기는 가치가 결코 협상용 카드가 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며 “지방발령 이후 일부 매체에서 관련 보도가 나오자 회사 측에선 ‘연합뉴스 주재기자는 지역 사령관’이란 논리를 내세웠지만 이전에 협박한 것과 정면 배치될 뿐 아니라 자기모순”이라고 지적했다.


현 경영진의 ‘징계의 리더십’ 때문에 복지부동이던 연합 내부에서도 지난해 ‘촛불 민심’에 자극받아 공정보도를 촉구하고 현 경영진의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잇달아 터져 나오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23일엔 막내기수인 35기가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30~32기, 34기의 성명도 이어졌다. 지난 파업에서 지키고자 했던 공정보도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셈이다.


파업 이후 회사 분위기가 달라졌다거나 선후배 관계가 안 좋아졌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선 “각자의 위치와 생각,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일 것”이라며 “반면 어린 후배들이 목소리를 내는 것은 누구보다 이 회사의 주인이라는 생각이 강하고 비정상적인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는 절박감이 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연합뉴스나 경영진 모두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연합을 국가기간통신사로 지정한 이유는 정치권력이나 자본권력에 얽매이지 말고 객관적이고 공정한 보도를 해야 한다는 정치권, 언론계, 언론단체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의 공감과 합의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죠. 경영진이 내부 구성원과 회사 이름을 팔아서 개인 영달이나 사익을 좇거나 권력에 줄을 서면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특히 특정 정권에 기대어 연합을 제 자리로 돌려놓아야 한다는 발상 역시 경계해야 한다고 공 전 위원장은 말했다.


그는 “특정 정권이 들어섰을 때 연합 사장을 뽑는 뉴스통신진흥회 이사 추천 시스템이나 사장 선임 제도를 바꾸는 게 훨씬 유리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특정 정권에 기대려고 하는 것은 아주 위험한 발상인데 그에 따라 줄을 서는 사람이 생기고 정권 역시 자기 입맛에 맞는 보도를 원하기 때문이다. 그 보단 어떤 정권이 오더라도 공정보도를 지킬 수 있는 내부 구성원들의 단합된 힘을 축적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