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밀한 검증으로 오보 바로잡으면 추락한 언론 신뢰도 바로 잡힐 것"

팩트체크 전문미디어 '뉴스톱' 창간 김준일 대표

“팩트체크에 관심이 높아졌다가 대선 끝나고 썰물처럼 쏴아 빠졌거든요. 지금 하는 곳이 많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기회라고 생각해요.”


왜 하필 이 시점에 ‘팩트체크 전문 미디어냐’는 질문에 김준일 대표는 이 같이 답했다. 그는 최근 ‘뉴스톱(NewsToF, True or Fake)’이라는, 이름 그대로의 매체를 출범시켰다. 대선 후 ‘팩트체크’는 인기 콘텐츠의 자리에서 밀려난 상황. 주류 언론사들은 물 들어올 때 노를 저었고, 삽시간에 사라졌다. 이 썰물의 자리에서 김 대표는 이제 막 닻을 올렸다. 그는 어떤 생각이었을까. 김 대표는 “팩트체크가 중요한 건 다들 안다. 전문적으로 할 필요성이 있고 시장성도 있다고 판단했다”며 “다양한 형태의 저널리즘이 공존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본다. 팩트체크 저널리즘 역시 전체 미디어 시장에 한 장르로 자리를 차지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한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미국에서 4년 간 언론학 박사과정을 밟으며 미 대선을 현지에서 지켜본 그는 지난해 귀국 후 ‘뉴스톱’ 창간을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한국에도 이런 게(팩트체크 전문 미디어) 있었으면 좋겠다”는 막연한 바람은 ‘팩트체크의 이상을 공유한 동료모집’으로 현실이 되는 첫발을 뗐다. 쉽지 않은 과정을 거쳐 모인 5인의 창간멤버가 김 대표를 포함한 강양구, 송영훈, 이고은, 지윤성 팩트체커다. 이들은 모두 경향신문, 프레시안의 전직 기자이거나 IT, 방송·PR 분야의 베테랑 전문가들이다. 자본금을 갹출한 투자자이기도 하다.


“우선은 20대가 아닌 40대가 하는 미디어 스타트업, 벤처라고 보면 될 거 같아요. 느슨한 연대라고 해야 하나. 당장 월급을 주진 못해요. 하나에 올인하지 말자는 건 합의가 돼서 ‘투잡’, 재택근무를 하며 온라인 미팅을 하고, 기사는 상의는 하되 알아서 원하는 만큼을 해달라고 하고 있어요. 본업이 있으면서 팩트체커로 활동하는 건 좋다고 봐요. 다만 노동 가치만큼 줄 수 있을 정도는 되도록 수익 모델을 고민 중이에요.”


결국 답은 콘텐츠에 있을 터다. 그런데 우리가 접해온 심각하고 진지한 팩트체크 기사들이 독자들에게 상시 먹힐 수 있을까. 김 대표는 “국내 팩트체크의 외연을 키워보려는 생각”이라고 답했다. 그는 “미국에도 다양한 유형의 팩트체커가 있다. IFCN(국제팩트체킹네트워크)에서 등록인증을 하는데 폴리티팩트 같은 ‘오소독스(orthodox)’한 정통파 팩트체커가 있는가하면 스눕스닷컴 같은, 예전 방송된 ‘스폰지’처럼 가벼운 소재를 다루는 곳도 포함돼 있다. 원칙과 기준을 충족하면 된다”고 말했다. 영어·법률 상식 등 역시 팩트체크 콘텐츠가 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영어강사, 변호사를 섭외 중이라고 그는 밝혔다.


단 항상 지켜져야 하는 원칙은 분명하다. IFCN의 기준을 준수하는 것. 초당파성과 공정성, 투명성(자료출처와 재원, 방법론), 개방성과 정직한 수정 등이 그 요소들이다. 하반기 국내 최초 IFCN 인증 팩트체킹 사이트가 되는 걸 목표로, 현재 실사가 진행 중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뉴스톱의 차별화는 제작과정에서 기사 출처를 밝힌 하이퍼링크를 걸고, 수정내역 역시 밝히며, 팩트체커의 면면을 공개하는 등 사소하게 느껴질 지점에서 드러난다. 김 대표는 이런 기본원칙의 간과가 언론 전반의 신뢰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고 봤다. “가시밭길이고 존중도 못 받는데 왜 기자를 다시 하냐고 물어요. 기자의 위상이 그런 거 같아요. 결국 언론들이 기본원칙을 돌아보고 내부에서 엄밀한 검증으로 오보를 바로잡으면서 풍토를 바꾸는 거 말곤 방법이 없다고 봐요. 사람들이 네이버 지식인이 아니라 저희 사이트에 와서 묻고 팩트체킹이 된 콘텐츠를 보게 만드는 게 목푭니다.”

최승영 기자 sychoi@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