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사용자 피드백' 기반 뉴스시스템 개편

100억 규모 '구독펀드' 조성 계획도 밝혀

네이버가 사용자의 후원과 피드백을 기반으로 하는 뉴스시스템 개편안을 내놨다. 네이버의 알고리즘 시스템인 ‘AiRS’ 추천뉴스 영역을 강화해 뉴스 사용자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뉴스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사용자가 전달하는 피드백이 편집 방향을 결정하는 데 주요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네이버 미디어 커넥트 데이 2017 (NAVER MEDIA CONNECT DAY)’에서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 운영 현황과 개편 방안을 공개했다. 한 대표는 앞으로 언론사와 사용자가 직접 만나도록 네이버는 언론사의 서포터 역할 하겠다모두에게 동일하게 보이는 메인 기사 배열 화면을 외부편집, 인공지능(AI)추천, 사용자 피드백을 종합해 바꿔가겠다고 밝혔다.

 

개편되는 뉴스판에는 AiRS 추천뉴스 영역과 함께 언론사와 사용자가 함께 만드는 기사 배열 영역이 추가된다. 뉴스판의 구성은 네이버의 직접 기사 배열 언론사 직접 편집 AiRS(인공지능 추천시스템) 추천 사용자 구독뉴스 이 기사를 메인으로 추천 사용자 랭킹 뉴스 등 총 6개의 영역이다. 각 영역별 위치를 사용자가 결정하는 MY판 서비스도 강화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이날 사용자의 미디어 구독을 후원하는 100억원 규모의 구독펀드와 뉴스본문 내 광고 수익을 배분하는 ‘PLUS(Press-Linked User Support)프로그램도 공개했다. 기존에 지불하던 뉴스 정보 제공료(전재료) 외에 추가 수익 모델을 제안한 셈이다.


광고 수익 배분은 네이버의 직접 기사 배열 영역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제외하는 방향을 잡고 있다. 한 대표는 플랫폼 비용 차원에서 네이버로 돌아오는 30%의 광고 수익분은 ‘SNU 팩트체크 기금과 언론사 편집 운영비와 같은 서비스 실험 예산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사용자의 미디어 구독을 후원하는 모델인 구독 펀드는 분기별 25억원으로 연간 100억원 규모다. 구독펀드 운영에 대한 세부 방식은 조만간 공개할 예정이다.


이진우 기자 jw85@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