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한 마디에서 영화 '1987'이 시작됐다

'1987' 모티브 제공한 송태엽 YTN 기자

송태엽 YTN 기자.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영화로 만들지 않느냐.”


지난달 27일 개봉해 한국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든 영화 ‘1987’은 송태엽 YTN 기자의 이 한 마디에 시작됐다. 지난 20155월이었다. 김경찬 작가와의 술자리에서 잔뜩 술을 마신 그는 그가 알고 있는 1987년의 모든 것을 김 작가에게 얘기했다. 드라마보다 더 극적인 사건의 개요, 미스터리한 요소를 강조하며 6월 항쟁 30주년인 2017년 여름에 개봉하면 대박일 거라고 권유했다. 김 작가는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당시 망치로 뒤통수를 맞은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두 달쯤 뒤 송 기자에게 시나리오가 내밀어진 건 그런 연유였다.


영화 '1987' 포스터.

사실 송 기자가 김 작가에게 6월 항쟁 관련 영화를 쓰라고 권유한 데에는 이기적인 이유가 있었다. 이명박근혜 정권을 거치며 후배들이 해직되고 언론자유지수가 후퇴하는 것을 목격하면서 그 역시 앞이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그는 어떻게든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정권을 바꿔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고 대선을 앞둔 지난해 7~8월에 이 영화를 개봉해 조금이라도 길을 트길 바랐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는 그의 예상보다 더 빨리 무너졌다.


그렇게 무너질지 누가 예상이라도 했겠어요. 당시 김 작가에겐 이제 흥행이 잘 되긴 어려우니 드라마로 잘 만들어야 할 것 같다고 말했었죠. 우리 세대의 기념비가 되기보다 무한 반복되는 불완전한 인간의 드라마가 돼야 한다고.”


덕분일까. 개인의 차이는 있겠지만 영화 ‘1987’에 대한 기자·평론가·관객의 반응은 대체로 호평 일색이다. 송 기자는 그 모든 것이 감독과 작가의 공이라며 자신은 영매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제가 한 것이라곤 영화에 선데이서울을 쓰기 위해 서울신문 후배에게 전화 한 통 해준 것, 당시 출입증이나 기자증, 기자 차량이 어땠는지 옛날 선배들에게 물어봐준 게 다입니다. 제가 자랑할 일은 없어요. 오히려 감독과 작가가 훌륭했죠. 저도 당대에 있었던 사람이긴 하지만 1987년을 소설로 재구성하려면 굉장히 어려웠을 겁니다.”


영화 '1987' 스틸컷.

송 기자 역시 1987년의 시·공간에 있었다. 당시는 대학 3학년 과정을 마치고 용산 카투사에서 군 복무를 하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출퇴근이 가능했던지라 그는 매일같이 시위에 참가했다. 박종철 열사의 형 박종부씨와의 인연도 있었다. 박종부씨와 야학 선후배 사이였던 그는 박종철 열사가 죽었을 때 박 선배를 위로하기 위해 걸리가 떨어져나간 집에서 술 한 잔 하던 것을 기억했다. “대공 형사가 따라와서 우리 얘기를 듣던 기억이 납니다. 형의 동생은 나에게도 동생이었죠.”


1987년의 경험은 그를 언론계로 이끌기도 했다. 동아일보의 보도를 보며 언론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체감했던 것이다. 그러나 대학 졸업을 앞두고 친 동아일보 시험에선 떨어졌고, 덕분에 평화방송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다.


영화 '1987' 스틸컷.

기쁘고도 우울한 해, 그는 1987년을 그렇게 기억했다. 6·29 민주화선언은 시민들이 쟁취한 첫 승리였지만 현실정치가 맞물리면서 대통령 선거에선 노태우가 당선됐다. 그러나 그는 87년 체제를 실패한 체제라고 정의하는 것엔 거부했다.


한 술에 배부를 순 없잖아요. 완전한 실패라기보다 성공의 시작으로 봐야죠. 1987년으로부터 30년이 지나오면서 한국 사회는 돌이킬 수 없는 민주주의의 강을 건넜고, 이제 절차적 민주주의는 아무도 뒤집을 수 없습니다. 다만 앞으로 한국 사회에 시대극이 좀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한국전쟁도, 광주도, 아직 틀 안에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1987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제 겨우 하나의 영화가 나왔을 뿐, 다양한 세대의 눈으로 바라본 많은 영화가 나왔으면 좋겠어요.”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