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의 댓글 조작 사건과 관련하여 주류 언론사들은 포털이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 만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포털의 댓글 관련 정책과 감시 소홀이 댓글 조작을 유도하거나 방치한 책임이 있다는 지적(<중앙일보 4월 27일자 30면)은 옳다. 하지만 언론과 정치권이 제기하는 포털 단독 책임론은 자신들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꼼수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주류 언론이나 인터넷언론사 모두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숙주’삼아(<한겨레> 5월 9일자 4면) 현장을 취재하지 않은 채 연관 뉴스를 손쉽게 만들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해왔고, 선거 국면에서 정당이 온라인 지지세력 관리를 통해 특정 정치인에 대한 여론을 관리하는 것은 진보와 보수 모두에게서 발견되는 보편적인 캠페인 관행(<한겨레> 4월 24일자 8면)이었다.
언론은 자사의 이익을 기준으로 뉴스연결방식(인링크, 아웃링크)에 대한 입장을 달리한다. 영향력이 큰 언론은 아웃링크 방식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지만, 발행부수가 적은 종이신문과 인터넷언론은 전재료를 받고 인링크로 남기를 원한다. 네이버는 뉴스가 이용자 유입을 꼬드기는 유용한 ‘미끼’라는 전략을 포기할 의향이 없다.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와 실시간 검색어를 삭제하지만 두 번째 화면에서 ‘뉴스판’과 ‘뉴스피드판’을 운영하고 뉴스 댓글 정책도 해당 뉴스를 제공하는 매체가 결정한다는 대책이 이를 반증한다.
새로운 댓글 정책이 네이버 공간에서 댓글 조작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겠지만, ‘뉴스판’과 ‘뉴스피드판’ 운영은 사회 통합에 역행하는 조치일 수 있다. 가령, 네이버의 공식블로그(다이어리)는 채널뉴스 이용자들이 주로 유사한 성격의 매체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한다. 언론사가 직접 편집한 뉴스를 제공하므로 특정 이슈에 대한 다양한 언론의 평가와 해석에 노출될 기회를 이용자가 자발적으로 차단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체 신뢰도와 충성도가 채널 설정의 기준이 될 게 분명하므로 이용자는 자신의 정치적 성향에 조응하는 매체가 제공하는 뉴스에만 노출되게 된다. ‘뉴스피드판’은 AI가 뉴스 노출 히스토리를 분석해 그(그녀)가 선호할 것으로 기대되는 뉴스를 추천하는데 이 또한 이용자가 여러 정치적 견해에 노출될 기회를 제한한다.
이용자의 4%만이 언론사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해 뉴스를 소비하는 반면 77%가 포털을 경유해 뉴스에 노출되는 현실(한국언론진흥재단 <디지털뉴스 리포트 2017>)의 문제점을 직시한 학자들은 포털이 뉴스 유통플랫폼으로서 공적 책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포털이 저널리즘 원칙에 충실한 뉴스 알고리즘을 구축할 때 제휴 언론사들은 자신들의 부적절한 뉴스생산 관행을 개선하지 않을 수 없다. 포털은 뉴스 편집·배열·검색 알고리즘을 공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