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엔 노동신문·조선중앙TV·조선중앙통신만 있는 게 아니다?

[하노이 북미회담] 북 매체들 이례적 보도 눈길

JTBC <‘시차’ 없는 보도에 열혈 취재까지...달라진 북 매체> 리포트에 담긴 북한 기자 모습 캡처.

2차 북미 정상회담 기간 북한 매체도 국내 언론의 뉴스거리로 집중 조명됐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평양 출발과 하노이 도착, 정상회담 소식을 신속히 전하며 “이례적”이라는 평이 잇따른 것. 북한 매체가 입길에 오르며 북한의 언론 환경, 아울러 북 매체의 보도가 국내에 전해져 뉴스가 되는 과정에도 관심이 모인다.


통일부 통일교육원의 ‘2018 북한이해’ 등에 따르면 북한에서 언론은 정보전달과 비판이 아니라 “당이나 정권의 선전선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신문은 모두 당과 내각, 각종 단체에서 공식 발간하는 기관지이며, 방송은 내각 소속인 조선중앙방송위원회의 규제 아래 운영된다. ‘조선중앙년감 2017’에는 주요 신문사 9곳, 통신사 1곳, 방송사 5곳만이 기록됐지만 실제 북한 매체 수는 훨씬 많다.


대표적인 신문사로는 노동당 기관지 ‘로동신문’,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기관지 ‘청년전위’ 등 3개 중앙지와 각 시·도 당 위원회에서 발행하는 ‘평양신문’, ‘함북일보’, ‘자강일보’, ‘개성신문’ 등 12개 지방지(이상 일간지)가 꼽힌다. 그 밖에 조선인민군 기관지 ‘조선인민군’, 해외홍보용 주간지 ‘The Pyoungyang Times’, 각 대학 발행의 ‘대학신문’,‘철도신문’, ‘건설신문’, ‘교육신문’ 등이 있다.


주요 TV방송사로는 대표 방송인 ‘조선중앙텔레비죤방송(조선중앙TV)’을 비롯해 ‘룡남산텔레비죤방송’, ‘만수대텔레비죤방송’, ‘체육텔레비죤방송’ 등이 있다. 라디오방송사는 북한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조선중앙방송’, ‘평양유선방송’, 대남방송을 하는 ‘평양방송’, ‘평양FM방송’ 등으로 구분된다. 외국어로 서비스 되는 대외 방송도 있다. 통신사로는 ‘조선중앙통신’이 존재한다.


북한 매체 인용 보도는 국가기간통신사 연합뉴스를 통하거나 언론사 개별 계약에 따른 전재 및 모니터링을 통해 국내에 전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북한 역시 인터넷 사이트와 SNS 계정을 운영하지만 실시간 모니터링이 어렵고 우회 접속 등을 거쳐야 하는 탓이다.


연합은 국내에서 북한 매체에 대한 인프라가 가장 잘 구축된 곳이다. 가장 많은 북한 매체와 계약을 맺고 언론사를 상대로 기사를 공급한다. 평양방송, 조선중앙방송, 조선중앙TV 등과 제휴 상태고, 조선중앙통신, 로동신문과는 단독 계약을 맺고 있다. 우리나라에 곧장 들어올 수 없는 월간지나 계간지, 종이신문 등을 보관한 자료실도 있다. 모니터링팀 6인 인력이 3교대 24시간 방송 모니터링 등을 해 한반도부와 공조한다. 통일부가 출입기자단 취재 편의를 위해 제공하는 조선중앙통신 기사 등도 연합이 전달하는 자료다.


특히 영상이 필요한 지상파 3사, 종편 4사, 보도전문채널 2개사 등 방송사는 조선중앙TV와 개별 계약을 맺어 보도에 활용한다. 남측을 대리하는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경문협)과 북측 조선중앙TV를 대리하는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 및 저작권 사무국이 체결한 방송계약에 따라 영상을 사용한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이 조선중앙TV를 위성으로 송출해 수신 안테나를 설치하면 누구나 볼 수 있지만 고가라 (개인보다는) 언론사가 감당할 수준”이라며 “보도를 위한 사용은 저작권 때문에 따로 경문협(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에 돈을 지불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방송사들이 지불한 저작권료는 법원에 공탁된 상태다. 지난 2009년 북의 미사일 발사에 따른 5·24 제재 조치로 민간 영역의 대북 송금이 금지된 결과다. 공탁금은 10년 내 찾아가지 않으면 소멸, 국고로 귀속되는데 기한이 찼다.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부터 10년”이란 조항 해석은 송사 소지도 담고 있다.


장용훈 연합뉴스 한반도부 부장은 “북한 뉴스의 출발점은 북한 매체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모니터링팀 등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래서 북한이 무슨 얘길하는지’ 정확하게 읽고 짚어낼 수 있는 숙련 인력 확보가 더 절대적이다. 회사 차원에서 보다 나은 북한 보도를 위해 전문성을 확보할 시간을 주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승영 기자 sychoi@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