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영·승리 카톡방’ 사건 뉴스를 접한 시민 10명 중 8명 이상은 관련 보도가 개인 차원 비리 들추기에 국한된 문제 등을 안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일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발표한 ‘단체 채팅방을 통한 불법 촬영물 유포 관련 시민 경험 및 인식조사’에 따르면 관련 뉴스를 본 적이 있는 응답자(92.3%) 중 85.8%가 ‘문제에 대한 본질적 해결보다 개인 차원의 비리 들추기에 국한된 보도’라고 답했다. 그 외 ‘불법 촬영물 등장인물 추측보도로 인한 2차 피해’(83.6%), ‘알권리 충족보다 사회적 관음증을 부추김’(81.8%), ‘피해자인 여성 시각 미반영’(80.5%)에 대한 지적이 뒤를 따랐다.
응답자들의 이 같은 인식은 ‘충분히 보도됐다고 판단하는 내용’을 물은 질문에서도 드러났다. ‘연예인들의 메신저 채팅방을 통한 불법 촬영물 유포’에 대해 72.8%가 충분히 보도됐다고 했지만 ‘경찰과 버닝썬 사이 유착’에 대해선 22.2%만이 응답했다. 조사를 진행한 진민정·김위근 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정준영·승리 카톡방’ 사건 관련 보도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적지 않게 나온 결과”라며 “(특히) 자극적이고 선정적 내용은 많이 보도된 것으로 생각한 반면에, 사건의 본질을 꿰뚫어 볼 수 있는 구조적인 내용에 대한 보도가 부족하다고 봤다”고 적시했다.
개선책으로는 ‘클릭 유도를 위한 뉴스 어뷰징 중단’(93.3%), ‘이슈를 또 다른 이슈로 덮지 않는 뉴스 가치에 맞는 보도량 고민’(90.1%) 등에 응답자 10명 중 9명 이상이 동의했다. ‘근거 없는 루머 확산 방지 위한 사실 확인 후 보도’(93.4%)를 비롯해 ‘단순 독자 호기심 충족 위한 보도 자제’(87.0%), ‘독자 역시 연예인 내밀한 사생활에 대한 관심 자제’(85.0%), ‘범행수법 묘사 등 선정 보도 지양’(82.%), ‘피해자 추측 가능한 사진·동영상 유포 보도금지’(81.3%) 등이 방안으로 지지를 받았다. 이번 조사는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5~21일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7.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최승영 기자 sychoi@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