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가 언론 탓이라고?

[스페셜리스트 | 금융] 유병연 한국경제신문 부장·신문방송학 박사

유병연 한국경제신문 부장. 한국 경제성장률이 지난 1분기 -0.3%로 곤두박질쳤다. 이번 정부 들어 분기 기준 두 번째 역성장이다. 앞서 2017년 4분기에도 -0.2%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정부는 최근 ‘문재인 정부 2년 국정 성과’를 소개하며 “소득주도 성장 정책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자평했다.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는 지표가 많은데 부각이 안 되고 있다”며 청와대에 ‘좋은 지표 알리기’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한국이 ‘30-50클럽(소득 3만달러, 인구 5000만명 이상)’에 가입하고, 지난해 경제성장률도 미국, 일본, 독일 등 7개국 가운데 미국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이런 성과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는 판단에서다. 이런 배경에는 미디어 보도 행태에 대한 불만이 깔려 있는 듯하다. 언론이 경제 상황을 제대로 알리지 않고 ‘위기론’으로 국민들을 현혹하고 있다는 불신이다.


여권 인사 중에선 아예 ‘한국 경제를 망하게 하려는 주범’으로 언론을 꼽는 이들이 있다. “위기론은 보수 언론의 음모”라거나 “경제 사정이 계속 나빠질 것이라고 저주를 퍼붓는 한국 언론들이야말로 경제 위기를 촉발할 범인”이라고 화살을 날린다.


실제 언론이 정부 정책에 악의적 프레임을 씌워 경기상황이 나쁘다고 보도하면 경제주체들의 주관적 인식에 영향을 미쳐 경제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이를 언론학에선 ‘미디어 병폐 효과(media malady effects)’라고 한다. 경제 상황에 대한 언론의 의도된 편향적 보도가 경제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가설이다. 부정적인 경제 뉴스가 늘어나면 경기선행지표들이 일정 시차를 두고 나빠지는 현상이 관찰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가설은 국가 경제에 대한 국민들의 판단이 주로 매스미디어 보도에 의존하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신문이나 방송보다 SNS나 댓글을 통해 더 많은 정보와 의견을 습득하는 현 미디어 환경에서 미디어 병폐 가설은 설 자리를 잃고 있다.


무엇보다 소비자는 경기상황에 대한 판단을 뉴스 보도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 일상생활에서 경제 문제를 직접 경험하기 때문이다. 경제주체의 현실 인식에 따라 그 나라 경제가 결정된다는 ‘자기실현적 기대(self-fulfilling expectation) 가설’이 미디어 병폐 효과를 압도하는 이론으로 평가받는 이유다. 실제 미디어가 의제를 설정하기 보다는 소비자가 미디어 의제를 설정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그렇게 소비자들은 미디어 현장에서도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위기를 경고하는 건 언론의 책무에 가깝다. 언론이 경기 침체나 경제 위기 자체를 만들어 낼 수는 없다. 경기 하강을 언론 탓으로 돌리는 건 오히려 정책실패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정치적 프레임’으로 보인다. 성과의 단편을 홍보하거나 언론으로 화살을 돌리기보다 경제 주체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경기를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것이 자기실현적 기대 가설이 정책 당국자들에게 던지는 메시지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