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저널리즘인가 아닌가

19일 '유튜브 저널리즘의 현황 진단과 새로운 모색' 세미나 개최

지난 1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선 ‘유튜브 저널리즘의 현황 진단과 새로운 모색’ 세미나가 열렸다.

이용자 10억명 이상에 일일 시청시간 10억 시간. 지난해 유튜브가 거둔 성과다. 유튜브는 전 세계적으로 콘텐츠 수와 시청시간에 있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며 1위 플랫폼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이용자들은 문화, 과학 등 전 분야에 걸쳐 유튜브에서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고, 뉴스 역시 유튜브로 소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튜브 저널리즘’이란 용어도 등장했다. 전통적인 신문과 방송에 만족하지 못하고 유튜브에서 뉴스를 보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이를 저널리즘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이들이 생겨나서다.


지난 1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열린 ‘유튜브 저널리즘의 현황 진단과 새로운 모색’ 세미나도 이 같은 사회 흐름을 진단하기 위한 자리였다. 발제자와 토론자들은 새롭게 태동한 유튜브 저널리즘을 저널리즘의 한 축으로 볼 수 있는지부터 유튜브 저널리즘이 권력에 대한 감시 및 비판의식을 갖춘 시민의식을 육성하는 데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사회적 공론장으로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지 등을 다양한 층위에서 논의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미 현상적으로 뉴스 수용자들이 유튜브에서 저널리즘을 소비하고 있기에 유튜브 저널리즘이 인정된다고 주장했다. 마정미 한남대 정치언론학과 교수는 “지난 15일 기준 유튜브 뉴스 채널 구독자수는 YTN뉴스 131만, JTBC뉴스 118만, 신의한수 90만, 노무현재단 87만 등이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진행하는 ‘유시민의 알릴레오’는 기존 방송사보다 높은 여론 파급력을 갖고 있고 ‘신의한수’는 극우 보수성향 유권자가 집결하는 대표 채널이 됐다”며 “이들은 지상파·종편 모두의 ‘편향’을 주장하며 대안 미디어를 표방, 유튜브 뉴스 공간을 장악했다. 여기에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는 개인 채널이 ‘해설’ 또는 ‘현장’ 중심 뉴스로 시선을 사로잡았다”고 분석했다.


이상호 경성대 디지털미디어학부 교수도 “시사IN이 매년 발표하는 언론매체 신뢰도 조사 결과 응답자들이 가장 신뢰하는 매체는 JTBC(15.2%)였고, 그 다음이 유튜브(12.4%)였다”며 “지난달 ‘유튜브와 정치 편향성’ 관련 세미나에선 정치정보 습득을 위해 하루 평균 유튜브 개인 뉴스 채널을 이용하는 시간이 평균 35.9분이라는 설문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이는 1위에 오른 지상파 방송(36.9분) 다음이었고, 같은 조사에서 뉴스 채널 신뢰도는 5점 만점에 유튜브가 3.06점으로 JTBC(3.30점)에 이어 2위였다”고 전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는 아직 유튜브를 저널리즘의 영역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송상근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빙교수는 “훈련받은 전문가들이 전문성과 윤리성을 갖고 검증을 거쳐 내보내야 뉴스로서 가치가 있고, 저널리즘으로서 존중받을 수 있다”며 “그러나 정치인이나 일부 전문가 그룹은 자신의 전문적 주장만을 전달하고 있어, 정기적으로 공적인 관심을 검증을 거쳐 내보내는 저널리즘 영역에는 부합되지 않는다고 본다. 특히 일부 정치인들 채널은 기존 뉴스에 살짝 살을 붙여 자기주장을 담는 형태가 대부분인데, 사회적 영향력은 점점 커져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유튜브 저널리즘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권력에 대한 비판, 사회적 공론장 등 제대로 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우려도 컸다. 이상호 교수는 “유튜브는 기성 언론이 불신 받는 틈을 타 기성 언론이 해주지 않는 이야기를, 구독자가 원하는 내용으로 자동 추천하는 이용자 중심 미디어가 됐다”며 “이 때문에 확증편향과 부정성 편향, 이야기 편향의 광장이 되어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우려 속에 건전한 공론장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후적으로 유튜브 동영상 및 개인방송을 관장할 수 있는 법률과 조직의 마련이 요구되고 한편으로 유튜버들에게 미디어 사용에 관한 리터러시 교육을 상시 시행할 수 있도록 정부와 학계 및 관련기관이 힘써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정미 교수도 “유튜브로 뉴스를 소비하는 구조에선 정치성향에 따라 가짜뉴스 유통, 필터버블과 확증편향 문제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결국 유튜브를 누가 감시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 개인이 유튜브가 자동 재생하는 극단적인 영상을 멈추고 때론 답답하기까지 한 성찰적 태도, 시민의식을 보여야 하지만 그 방식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그다지 희망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에선 이런 우려가 과도하다는 전문가도 있었다. 강영희 KBS 공영미디어연구소 연구위원은 “편향성의 문제는 유튜브만이 아니라 기성 미디어도 갖고 있고, 개인조차 정치적 성향에 따라 선호도가 있기 마련이다. 유튜브를 좋아하는 이유가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 기술 때문인데 이걸 하지 말라고 할 순 없다”며 “가짜뉴스의 경우에도 이용자에게 바로 영향을 끼칠 거라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이용자를 무시하는 것이다. 판단하기도, 규제하기도 어려운 가짜뉴스를 법적으로 규제하자는 건 위험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허남진 전 중앙일보 논설주간도 “확증편향에 대한 우려에 공감은 하지만 유튜브에, 언론에 갈등 해결과 사회 통합의 기능을 기대하는 건 지나치다”며 “의회 민주주의 국가에서 숙의 민주주의의 1차 책임은 국회에 있다”고 말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