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MBC, YTN이 ‘공정방송’이란 구호 아래 한데 뭉쳤다. 전국언론노조 KBS본부, MBC본부, YTN지부 등 3사 노동조합은 ‘공정방송 복원·낙하산 사장 퇴출·해고자 복직을 위한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를 조직하고 공정방송 회복을 위한 연대 투쟁을 선언했다.”
2012년, 유례없는 언론사 연쇄·장기파업이 언론계를 뒤흔들었다. ‘공정방송 사수’와 ‘낙하산 사장 반대’를 기치로 수년간 개별 투쟁을 벌여온 KBS·MBC·YTN 등 3사 노조는 2월7일 공동투쟁위원회를 출범하고 연대 투쟁을 본격화했다.
먼저 그해 1월30일 전국언론노조 MBC본부가 ‘김재철 사장 퇴진을 촉구하는’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며 ‘공정방송 사수 투쟁’의 신호탄을 쐈다. MBC 구성원의 결단은 다른 언론사들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기자협회보는 2월29일자 보도에서 “‘공영적 언론사’들의 ‘3월 미디어 대전’이 현실화될 조짐”이라며 “MBC 총파업에 이어 KBS 새노조의 파업 예고, YTN 노조의 총파업 찬반투표 실시에 연합뉴스 노조도 단체행동 초읽기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MBC를 시작으로 전국언론노조 KBS본부가 3월6일 ‘김인규 사장 퇴진’을 위한 총파업에 들어갔고, YTN지부는 ‘해직기자 복직·배석규 사장 연임 반대’를 내걸고 3월8일부터 1~10단계에 걸쳐 파업을 진행했다. 연합뉴스지부 역시 3월15일을 기해 23년 만에 전면 파업에 나섰다. 앞서 2011년 12월23일 돌입한 국민일보 노조 파업을 포함해 5개 언론사가 동시에 파업을 벌인 것은 국내 언론계 역사상 처음이다. 또한 MBC 170일, KBS 95일, YTN 55일, 연합뉴스 103일, 국민일보 173일 등 각 언론사에서 당시로선 역대 최장 파업 일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언론사별로 구체적 상황은 달랐지만 공통적으로 ‘공정 보도 보장’과 ‘사장 퇴진 문제’가 파업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이 과정에서 언론인 11명이 해고됐고 내부 갈등 격화, 대외적 경쟁력 하락 등 커다란 상처가 남았다. 하지만 당시 언론인들이 보여준 ‘정당한 투쟁’은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며 ‘언론 자유 수호 의지’의 상징으로 남았다.
김달아 기자 bliss@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