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다 써야 하는가

[언론 다시보기]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지난 7월 하버드 케네디 스쿨의 저널(The Harvard Kennedy School Misinformation Review)에 “소셜 미디어 참여 지표 노출이 거짓 정보에 대한 취약성을 높인다”라는 제목의 논문이 발표됐다. 이 논문은 ‘코로나19’의 기원과 관련한 음모 이론성 내용이 소셜 미디어에서 어떻게 확산됐는지를 분석했다. 같은 거짓정보라도 참여 지표가 높으면 해당 내용의 이용 정도가 높아진다 등 여러 분석 결과 중 흥미로운 점은 전통적인 주류 매체가 다른 출처들에 비해 음모 이론성 내용의 확산에 기여했다는 부분이었다. 연구진이 연구에 활용한 음모 이론성 내용의 출처 ‘url’을 분석하면 83%가 비주류 혹은 잘 알려지지 않은 사이트였고, 17%는 소위 전통적인 주류 매체의 사이트였다. 하지만 같은 음모 이론성 내용이더라도 주류 매체가 출처일 경우 페이스북, 트위터, 레딧 등 소셜 미디어에서 좋아요, 공유 등 이용자 참여 수가 평균보다 4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소셜 미디어의 콘텐츠 노출 알고리즘이 갑작스런 참여 수 증가 지표를 인식해 이러한 내용의 확산을 저해하고 있다는 분석이었다.


굳이 사례를 제시하지 않더라도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이런 것까지 보도해야 할까라는 생각이 들 정도의 내용이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내용은 이용자들의 참여 지표를 바탕으로 반복 노출된다. 사안에 대해 아무 관심이 없었던 사람들도 그 내용을 알게 되고 이는 다시 논란으로 확산된다. ‘미디어는 어떻게 허위정보에 속았는가(The Oxygen of Amplification)’라는 책의 내용이자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바이다. 이 과정에서 정치인도 자주 등장한다. 왜 이러한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도 우리 대부분이 알고 있다. 보도 가치보다 클릭 가치가 있을 법한 내용들이기 때문이다. 나도 저러한 내용을 소셜 미디어 등에서 클릭해 자주 본다. 확실히 자극적이기 때문이다. 보고 나서 한숨을 쉴 때가 많지만 쓸 수밖에 없는 수많은 이유들에 대해서도 이해한다. 이용자들이 원하고 다른 언론사들이 다 쓰고 있고 플랫폼에서 노출이 잘 된다. 그래도 ‘유사 언론’이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유사 언론’의 내용을 주류 언론이 그것도 속보 경쟁까지 하면서 보도하는 모순은 이해하기 어렵다. 허위정보 문제로 많은 지적을 받은 유튜브는 뉴스/정치 분야에서 개인보다는 주류 매체의 영상을 위주로 추천한다.


사건이 발생했고, 누군가가 말을 했고, 어떤 기관이 발표했고 등의 이유로 꼭 다 쓰는 것은 아니다. 수많은 사안 중 민주주의 공동체 사회의 시민이 알아야 할 가치가 있는 내용을 쓰는 것이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원칙이다. ‘팩트체크’라는 용어가 유행처럼 쓰이고 있지만, 원래 언론은 ‘체크’된 ‘팩트’만 전달해야 한다. 최근만 보더라도 숨이 막힐 정도로 많은 사건이 벌어지고 있는데 한가한 소리일 수도 있다. 여러 이유 때문이지만 언론에 대한 신뢰가 낮다는 지적은 진부할 정도다. 어떻게 신뢰를 회복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도 이론적으로 실무적으로 수없이 제시되고 있다. 하루아침에 이 신뢰가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어쩔 때는 현재의 구조 아래에서 이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나는 ‘꼭 다 쓰지 않는 것’이 언론 신뢰 회복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저널리스트’와 ‘인플루언서’의 경계는 필요하다.

맨 위로